13장 | 도살장에 끌려가는 양들처럼


미혼모들이 심각하고 부정적인 사회적 압력에 직면했음을 인식하고 일부 전문가들은 법적이고 경제적인 문제에 원인이 있음을 강조하며 "혼외 출산을 한 여성에게 경제적 지원을 제한"하려는 법을 비판했다(Osofsky 1968: 89-90). 하지만 현실은 경제적 여유가 있었다면 아이를 선택했을 수도 있던 많은 미혼모들이 "단순히 경제적 이유로 인해 아기와 헤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입양 보내면 아기가 더 잘 될 것이라는 생각과 엄마로서 아이를 지키고 싶다는 본능 사이의 갈등을 어떻게든 조정하려 노력했다. 전문가들은 가장 이타적 어머니가 아기 상실로 인한 슬픔을 감수하고 아기에게 안전하고 
행복한 삶을 제공해 주기위해 입양을 선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다. 

사례관리자들은 "클라이언트가 어떤 종류의 사랑을, 어느 정도 할 수 있는지 평가했다." 복지사들은 미혼모의 수치심을 이용하여, 아이를 키우지 않으면 혼외 출산 사실을 아무도 모를 것이란 점을 강조했다. 이에 "아기를 입양 보내도 사생아를 가졌던 사실엔 변화가 없다는 사실을 생각해 보세요"라고 말한 클라이언트도 있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사회복지사는 이렇게 대응하는 미혼모를 어떻게 설득해야 하는지 별도의 교육을 받았다(Pochin 1969). - P144

사회학자인 윌리엄 라이언은 미혼모에게 입양을 강요하는 상황을 심각하게 보았다. 그는 가난한 사람들이 곤경에 처하는 원인을 가난한 사람 탓으로 
돌리는 경향에 대한 선구적 연구를했는데, 그에 따르면 미혼모는 타락하거나 일탈적 존재가 아니라 가난의 피해자이고, 자원의 분배와 접근에 있어
 "불평등의패턴"을 보여주는 가시적 증거다. 이 패턴에는 사회의 지배적 다수가 "가난한 자들을 제자리에 두려는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 

반대로 불법의 산물, 즉 혼외 출산아기는 전반적으로 높은 사회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만약 "사생아를 없애면, 입양에 필요한 원자재를 없애는 것이다". 특히 입양 시스템을 신랄하게 비판하며 라이언은 "입양되지 않은 엄청난 잉여 사생아들은..
입양 시스템이 만든 추잡한 산물이며, 형편없고 부적절한 아동복지와 공공부조 시스템의 자원 안으로 던져질 기준 미달의 물건과 같았다" (Ryan 2000 
[1971]: 114-115)고 일갈했다. - P145

오늘날에도 미혼모에 대한 과거의 주류적 관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예를 들면, 보수 대변인인 윌리엄 베네트는 십대미혼모에 대한 복지 혜택을 
강력히 반대한다.

"나의 희망은 적어도 미국 내 한 개의 주에서 특정 인구 집단(가령, 십대 미혼모)을 대상으로 이들이 장래 어떤 혜택도 받을 수 없도록 관련 법안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임신 미혼 여성 - P150

을 위한 그룹홈을 확대하고, 입양을 촉진하는 것이다.... 합법적이지 못한 행위의 여파로 끔찍한 인간들의 잔해가 남겨지게 되었다.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할 준비가 되었는지 스스로 물어야 한다. 즉 우리는 질문하고 이에 대해 곧 
답변해야 할것이다. (Bennett 2001)

***참으로 끔찍한 인간이네!
인간이 아니라고 해야 하나! - P1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