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사회》 한병철, 문학과 사회

<우울사회> 중에서...
탈진과 우울 상태에 빠진 성과주체는 말하자면
자기 자신에 의해 소모되어버리는 셈이다.
그는 자기 자신으로 인해, 자신과의 전쟁으로 인해 지치고 탈진해버린다.
그는 자신에게서 걸어 나와 바깥에 머물며 타자와
세계에 자신을 맡길 줄은 전혀 모른 채 그저 자기
속으로 이를 악물 뿐이다.(95쪽)


프로이트에 따르면 멜랑콜리란 나르시시즘적인 동일시를 통해 자아의 일부로 내면화된 타자가 자아에 대해 파괴적 작용을 하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로써 타자와의 갈등은 내면화되고 자기 자신과의 갈등관계로 전화하여 결국 자아의 빈곤과 자기 공격성으로 이어진다. 

반면 오늘날 성과주체가 앓는 우울증 등의 질환은 이렇게 내면화된 타자와의 갈등관계 또는 양가적 관계를 전제하지 않는다. 우울증에는 아예 타자의 차원이 개입되어 있지 않다. - P94

소진Burnout은 자주 우울증으로 귀결되거니와 이때 우울증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오히려 과도한 긴장과 과부하로 파괴적 특성까지 나타내는 과잉자기 관계를 들 수 있는 것이다. 
탈진과 우울 상태에 빠진 성과주체는 말하자면 자기 자신에 의해 소모되어버리는 셈이다. - P94

그는 자기 자신으로 인해, 자신과의 전쟁으로 인해 지치고 탈진해버린다. 그는 자신에게서 걸어 나와 바깥에 머물며 타자와 세계에 자신을 맡길 줄은 전혀 모른 채 그저 자기 속으로 이를 악물 따름이다. 
하지만 그 결과로 남는 것은 역설적이게도 속이 텅 비어버린 공허한 자아뿐이다. 주체는 점점 더 빨리 돌아가는 쳇바퀴 속에서 마모되어간다. - P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