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저우: 고난을 대하는 한가지 삶의 철학

위화<인생>
... 크게 보면 뺄셈의 연속이지만 그 중간에 덧셈도 있었다. 물론 뺄셈은 컸고, 덧셈은 작았다. 그래서늘 적자였다. 삶은 결국 고난으로 귀결되었다. 이렇게 보면 그의 삶은 불행했다. 하지만 행복학 전문가들이 말하지 않는가? 행복은 기쁨의 강도가 아니라 빈도라고, 인생의 행복을 위해서는 한두차례 큰 행복을 겪는 것보다는 크기는 작아도 작은 행복을 여러번 겪는 게 더 낫다고! 주인공은 큰 불행을 겪었지만 삶의 순간순간 작은 행복도 많았다. 그런 작은 순간순간의 행복에 즐거워하고 그것을 즐겼다. 이런 그의 삶의 태도야말로 행복론 교과서에서 말하는 행복 찾기의 전형적인 예다. 그는 반복된 고난 속에서도 순간순간 삶의 작은 행복에 기뻐하고, 그 행복의 순간을 기억하면서 고난과 불행을 견뎠다. - P214

운명을 친구로 삼는 삶의 철학
그런데 소설에는 이런 행복학 교과서 차원만이 아니라 고난과 불행을 대하는 더 중요하고 근본적인 주인공의 태도가 들어 있다. 원망 없이 비극의 삶을 대할 수 있는 주인공만의 사고방식이 있다. 이런 주인공의 사고방식은 중국의 많은 독자가, 심지어 작가 위화조차도 주인공을 진정한 중국인의 상징이라고 꼽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것은 중국인이 삶을 대하는 태도나 사고방식, 즉 삶의 철학이나 인생관과 관련되어있다. 예고 없이 언제 삶에 닥칠지도 모르는 불행이나 절망에 대응하는 마음의 힘을 키우기 위해서 그 삶의 철학으로 들어가보자. - P215

중국인의 삶의 철학을 가장 잘 압축하여 보여주는 고사성어가 있다. 우리가 잘 아는 새옹지마塞翁之馬란 말이다. 내용은 이렇다. 
어느날 뜻밖에 생긴 말이 행운을 가져오기도 하고
불행을 가져오기도 한다. 우연히 말이 생긴 것은 행운. 그 말을 타다가 아들이 다친 것은 불행. 그런데 아들이 다쳐서 전쟁터에 나가지 않게 되었으니까 이건 또 행운이다. 인생이란 이렇게 행운과 불행이 교차한다. 인생에서 좋기만 한 일도 없고, 나쁘기만 한 일도 없다. 그것은 마치 달과 같다. 달의 밝은 면과 어두운 면처럼 행운과 불행은 늘 인생이란 하나의 원에 같이 있고, 다만 어느 순간 밝은 면이 커지기도 하고 어두운 면이 커지기도 할 뿐이다. - P216

더구나 그런 행운과 불행은 내가 좌우하는 것이 아니다. 운명처럼 행운과 불행이 오고 간다. 그러니 인생의 행운에 자만하거나 도취하지 말 것이며, 불행에 좌절하거나 낙망하지 말라는 게 새옹지마 고사의 교훈이다. 중국인이 때로는 운명론자이고 때로는 비극 앞에서도 낙관과 웃음을 잃지 않는 것은 이 때문이다. - P2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