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자식을 죽인 여자와 여성해방

여자가 자연에 좀 더 가깝다고 보는 근거는 여자의 비생산적인 가치관, 사고방식이 문명이라는 것에 해를 입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자의 비생산성은 여자의 존재 자체가 총체적인 것에, 여자가 남자처럼 사고를 기계적으로 분리하지 않는다는 점에 기인한다. 남자는 이론(말)으로 총체성을 획득하려 하나, 여자는 그 존재 자체가 총체성을 갖고 있다.... - P205

여자를 중심으로 유지되던 과거 원시공동체에서도 인간이 우주를 가는 아폴로 시대인 오늘날에도, 여자의 안정도에는 변함이 없다. 요즘 경박하게 떠들어대는 ‘여성 상위 시대‘와는 아무 상관없이, 여자는 본래 여성 상위로 살아왔다. 삼종지도로 인해 어디에도 안주할 곳 하나 없이 궁지에 몰려 살던 시대에서조차도 여자는 강한 모습으로 불안정하고 교활한 남자들을 품으며 견디고 살아왔다. 우리 여자들은! - P207

흔히 여자가 바뀌면 세상이 바뀐다고 한다. 체제와 반체제의 정점인 존재, 혹은 그 접점 너머에 있는 여자를 어느 편이 데려갈 것인가에 따라 앞으로의 세상이 결정될 것이다. 여자의 안정성을 장점으로 한다면 급진적인 힘이 될 것이고, 여자의 보수성을 발휘하게 한다면 지배 체제의 기반이 될 것이라 본다. 강함도 보수성도 아주 조그만 계기, 상황으로 서로 뒤집힐 수있는 가까운 거리에 있는 것 같다.

_____<변소로부터의 해방> 중에서 - P207

여자의 생리 구조는 여자의 강함, 총체성의 원천일 수 있다. 단 그러려면 창조 활동으로 연결된 삶이 필요하다. 이런 전제 조건은 여자가 남자의 어깨에 안기는 것 이외에 자아를 확인할 터전을 가질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여자가 남자를 바라보며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려는 욕구만 갖고 있다면, 어떤 직업을 갖든 아무리 급진적이든 간에 여자는 아이를 낳는 기계로 ‘물화한 자궁‘이다. 

더욱이 더 큰 문제가 있다. 창조활동을 바라며 자아를 추구하는 여자의 자기 응고 방식은 남자처럼 서랍을 정리하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그 흐트러진 서랍을 계속 고집하면서 자기 응고를 시도할 수 있을지가 문제가 된다. 여자의 총체성은 자아의 확산을 버티는 가운데 되살아난다.

그러니까 서랍 속에 있는 것을 전부 뒤집어 꺼낸 상태로 버티면서 여자는 자신을 총체적인 존재이자 자연의 일부로 만들 수 있다. - P209

한 여자의 몸에는 확산하는 (마음이 흐트러지는) 자아 즉 자신 속에 있는 자연을 계속 고집하는 것이 있기에 자기 응고력이 따라올 것이라고 나는 예상한다. 이런 예감은 ‘생각하는 자궁의 복권‘과도 같이 자연의 생명력과 여자를 하나로 만드는 것으로 이어지고 있다. 

인간과 자연 사이에서 되풀이할 무수한 만남 속에서 여자는 늘 새롭게 될 수 있고 늘 되살아날 수 있는 존재이다. 그 원천은 여자의 자궁과 자연, 그 공포, 그 생명력에 있다. 자연에 대한 두려움이라는 게 있어서 인간이 그나마 조금은 제대로 살 수 있다고들 하는데, 이런 말은 자연의 생명력에 대한 두려움에서 나온 것 같다.  - P211

내가 지금 말한 공포는 교통사고를 당하거나 성추행범을 보고 느끼는 두려움이 아니다. 그러니까 그것은 나의 자궁에 있는 자연에서 비롯된 두려움이다. 그래서 모임에서 "항문 섹스를 할 때 무서우니 아프지 않우 방법을 가르쳐 달라"고 강연자한테 떼를 쓰며 묻던 남자들의 엉터리 같은 소리, 그런 적당함이 싫다. - P212

중절, 출산, 또 매달 하는 생리 때마다 나의 자궁과 그 두려움을, 그 자연을, 그 생명력을 공유해야 하는 여자는 지금까지 어떻게 살았고 앞으로 어떻게 살지 자연에게 묻고 있는 그런 존재이다. 
여자는 자연과 호응하며 살고 있다.

그렇다면 내가 희망하는 진짜 자유 해방이란 무엇일까? 말할 나위 없이 숨겨진 천재성을, 위대한 잠재 능력을 십분 발휘하는 것이다. 이 말은 외적인
압박이든 지식의 부족이든 자기 발전에 방해가 될 모든 것을 먼저 없애야 한다는 뜻이다. 아니, 외적인 압박이나 지식의 부족이 완전히 방해가 된다고도 할 수 없겠다. 그러나 역시 발전의 바탕이며 주가 될 것은 나 자체. 천재성의 소유자, 천재성이 깃든 왕궁인 바로 나다. 우리가 들떠 있을 때, 숨겨진 천재성이 밖으로 나온다. 내면에 숨겨둔 천재성을 위해 우리는 스스로희생해야 한다.

히라쓰카 라이초《태초에 여자는 태양이었다元始, 女性太陽》(1971년) - P212

‘여자에게서 여자들로‘ 향하는 길은 먼저 스스로 자신의 자궁과 만나는 것에서 시작한다. 먼저 나와 만나야 한다. 남자의 문화, 즉 다른 경쟁자들과 경쟁하는 가운데서 자아를 찾을 수밖에 없게끔 하는 그런 문화를 뛰어넘어야 한다. 이것이 가장 첫째 조건이다. 나의 자궁에 깃든 자연, 그 생명력과 자신을 하나가 되게 한다는 것은 풀 한 포기와 내 목숨을 걸고서 마주했던 옛 선조들의 그 모습 그대로 한다는 것이다. 

내가 품고 있는 모든 것을 걸고 즉 나의 서랍을 모두 다 열어 놓은 채로, 내가 있는 상황이나 자연과 정면으로 마주하는 것이다. 그런 중에 자신을 확실히 찾을 수 있다. - P214

V. 신좌익과 여성해방

I장에서 진짜 속내에는 두 종류가 있다고 썼다. 체제의 가치관에 알랑거리고 싶은 자신과 그렇게 하고 싶지 않은 자신이다. 우리는 이 두 종류의 자기 모순 속에서 살아 있는 인간인 나를 변증법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두 가지 상반된 속내가 서로 ‘내가 진짜 나‘라고 주장한다면 필연적으로 우리는 엉망인 상태인 자신을 겪게 될 것이지만, 그 엉망인 상태 가운데 바로 우리의 내일을 풍부히 품어 낼 수 있다. 그런뜻에서 나는 "자신의 어둠은 자신의 어둠일 뿐"이라고 말한 것이다. 어둠은 부조리한 것이니 체념하라는 말이 결코 아니다. 체제의 가치관에 따르고 싶지 않은 자신이란, 그 고통과 어둠에서 이끌어 낸 자신이다.
왜냐하면 고통을 느끼고 알면서 그 고통에서 체제의 가치관(빛)을 바라본다면, 체제의 가치관이 얼마나 빈약한지, 얼마나 비루한 것인지 훤히 보이기 때문이다. 또 체제의 가치관을 좇아 봤자 자신이 죽 헛돌 수밖에 없음을 싫어도 이제 알아 버렸기 때문이다. - P253

미시마 유키오의 할복을 두고 감탄한 남자들에게서 내가 느낀 불편함, 나는 그 불편함을 필사적으로 지적하려 했고, 할 수 있는 만큼 했다. 지금에 와서 보면 모든 것이 사실로 증명되고 말았다. 적군파의 탄생과 궤를 같이한 나의 여성해방운동. 그래서 나는 "그들이 애벌레가 나비로 되는 식으로 어느 틈엔가 제멋대로 과오를 키울 만큼 키우고,
심지어 반복해서 과오를 저질러 버렸다."라고, 그렇게 말할 수가 없다. 아니 정확히 말해, 그들은 ‘나비에서 애벌레‘로 되면서 생명의 가능성을 변증법적으로 후퇴시켰다. 그들이 후퇴하는 모습을 눈치챘으면서도 그들에게 그저 가까이 가지 않으려고만 했을 뿐인 나.
그래서 나는 남의 일처럼 적군파 그들의 과오를 논할 수가 없다. - P25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