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베카 솔닛의 서문도 그냥 넘기고 읽기 시작했었는데 첫 장부터 조짐이 보이더니
‘하늘 한 조각‘을 읽을 때는 복받쳐 오르는 감정을 꾹꾹 누르며 읽어나가야 했다. 세 개의 낱말이 가리키는건 아름다움만을 뜻하는건 아니었다. 시간이 한참 지나 내가 쓴 이 문장을 읽는다 해도 결코 잊히지 않을 듯 강한 인상을 남겼다.
한 동안 그 이상을 읽어가기 힘들었다.

오늘부터 다시 뒤를 읽기 시작한다.
이웃님의 리뷰를 읽고 나서 뒤가 궁금해졌기 때문이다. ‘숲과 평원과 사막을 걸으며 고통에서 치유로 향해 간 55년의 여정‘이라는 소제목이 뜻하는 바가 분명 있으리라!


육천 가지 가르침
어릴 때 나는 세상을 보고 싶었다. 그 바람은 조금씩 이루어졌다. 내가 세 살이던 1948년, 어머니와 나는 뉴욕시 북쪽에 인접한 매머러넥의 집을 떠나 다른 삶이 기다리는 로스앤젤레스외곽 샌퍼낸도밸리로 날아갔다. 나는 그랜드캐니언에서 성장기 여름을 보냈고 태평양에서 헤엄을 쳤다. 시간이 흘러 어머니의 재혼으로 우리는 다시 맨해튼 머레이힐로 이주했다. 거기는 또 다른 캐니언이었다. 열일곱 살 때는 버스로 유럽을 횡단했다.
멕시코에도 갔다. 나미비아에 있는 사막과 남극에서 20킬로미터 떨어진 극지 고원에서 야영도 했다. 방콕과 벨렝, 나이로비와 퍼스에 가봤고 그 목적지 너머의 땅으로도 길을 떠났다. - P121

한때는 다양성이 생명의 특징이라고 생각했으나 지금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안다. 다양성은 생명을 위한 필요조건이다. 다양성을 말소하는 것은 탄소를 제거해놓고 생명이 지속되기를 기대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멸종 위기에 놓인 언어, 생물 종, 문화를 얼핏 지나치기만 해도 그토록 불안해지고 그토록 슬픔이 차오르는 건 그런 까닭일 것이다. 우리의 발걸음이 닿는 곳이 어디든 거기서 마주치는 차이가 적어질수록 죽음이 세력을 확장한 것임을 우리 몸의 세포들이 알아차리는 것이다. - P1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