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이라는 이름은 자원활동가와 상근활동가들이 합심해서 지었다. 나는 완월동 아웃리치(Outreach, ‘손을 뻗는다, 나가서 닿는다‘의 뜻으로 외부 사람이 업소에 방문하거나 업소 입구에서 언니들에게 물품을 나누어 주는 행위, 간단한 목례, 눈인사, 안부를 묻는 등의행동을 뜻한다) 이후 삼겹살을 굽고 있었다. "구청에 단체 이름을 성매매피해상담소라고 신고하기에는 뭔가 허전하다. 성매매피해상담소 뒤에 우리가 ‘언니‘ (여성들의 자매애를 상징하고 친밀감을 표현하는 단어로 우린 성매매 당사자를 ‘언니‘라고 불렀다)에게 어떤 마음으로 다가가는지를 드러낼 수 있는, 짧지만 강렬한 메시지가 있는 단어를 붙이면 좋겠다"라고 제안했다. - P17
우리들은 "어떤 이름이 좋겠냐? 마음껏 상상하고 생각나는 대로 떠들어 보자"라고 했다. 모여 있던 사람들은 순식간에 한마디씩 했다. ‘언니들의 존재를 어떻게 드러내지?‘, ‘우린 어떤 목적으로 여기에 있지?‘,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우리를 소개하지?‘ 등의 질문이 끊임없이 이어졌다. 침묵과 아이디어 내기를 반복하면서 다양한 말들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 P17
쏟아내는 말들의 성찬이 끝도 없이 이어졌다. 다들 지쳐갈 무렵 누군가 ‘살림‘이 어떻겠냐고 했다. 처음 ‘살림‘이란 단어를 들었을 때는 집에서 ‘살림 사는 것 같은‘ 여성만의 무엇처럼 느껴졌다. "너무 ‘여성‘이지 않나? ‘여성성‘이 너무 두드러진다"라며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 대다수가 반대했다. 이 사회의 강한 성별 고정관념을 생각하면 조금은 부담스럽기도 했다. 그러나 영어 survivors는 생존자, 살아남은 사람, 사람을 살린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고 누군가 말했고, 그러자 우린 모두 "뜻이 괜찮다", "너무 멋지다"라며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렇게 우리의 이름이 된 ‘survivors‘와 ‘살림sallim‘은 ‘살린다‘와 ‘살림을 산다‘는 의미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살린다‘는 성매매 여성을 성산업 구조의 고리와 폭력으로부터 구조해 살리고, 성매매 여성이 사회구성원으로서 의지를 가지고 삶을 가꾸어 나갈 수 있도록 함께 행동하자는 바람을 담은 말이다. - P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