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품의 전달 과정
문자의 전파 과정은 두 가지의 대조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하나는 ‘청사진 복사‘라고 하는 방법인데 영어알파벳이 대표적이다. 세부적인 청사진을 구해 그대로 복사하거나 변형해서 사용하는 것인데 오늘날 가장 많이 사용되는 로마알파벳은 오랜 기간에 걸친 청사진 복사의 최종 산물이라고 한다.
또 다른 과정은 ‘아이디어 확산‘이다. 이것은 글자에 대한 기본적인 아이디어만 있는 상황에서 세부적인 내용은 새로 발명하여 문자를 만드는 방법이다. 우리 세종대왕께서 하신 일이 이것이다!

-외부의 영향을 받고 아이디어 확산으로 고안된 문자 체계들 오랜 옛날에도 아이디어 확산으로 만들어진 문자 체계가 많았다. 시쿼야 사례는 그 과정을 엿볼 수 있는 하나의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가령 1446년 한국의 세종대왕이 한국어를 위해 고안한 한글 자모는 중국 글자의 네모꼴 모양과티베트 승려들의 문자 또는 몽골문자의 알파벳 원리에서 자극을 받아 만들어진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세종대왕은 자음과 모음의 형태는 물론이고 한글 - P326
자모에만 있는 몇 가지 독특한 특징도 새로 발명했다. 예를 들면 몇 개의 자음과 모음을 네모 칸 속에 묶어 음절을 만들고 소리가 서로 관련되어 있는 자음이나 모음을 나타내는 글자는 그 형태도 서로 관련되도록 만들었다. 또 자음글자들의 형태는 각각 그 자음을 발음할 때 나타나는 혀나 입술 모양을 본떴다. - P327
한글과 오검 알파벳은 고립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발명되지 않고 아이디어 확산으로 만들어진 것이 확실하다. 왜냐하면 두 사회 모두 문자를 소유한 사회와 밀접하게 접촉했으며 외부의 어떤 문자에서 자극을 받았는지도 명확하기 때문이다. 그와 대조적으로, 수메르의 설형문자와 최초의 중앙아메리카 문자는 독립적으로 발명된 것이 확실하다. 이들 문자가 처음 나타나던 시기에는 동서 어느 반구에도 자극을 줄 만한 다른 문자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P327
그림 12-5 한국의 문자 체계 한글
산 유 화 산에는 꽃피네 꽃이 피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피네
산에 산에 피는 꽃은 저만치 혼자서 피어있네
산에서 우는 작은 새요 꽃이 좋아 산에서 사노라네
산에는 꽃지네 꽃이 지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지네 김 소 월
뛰어난 문자 체계인 한글로 쓰인 한국 시인 김소월의 시 <산유화>다.
*우리나라 아닌 다른 나라에서 인쇄하려면 힘들겠다. 활자를 새로 만들어야 하는 수고로움이...ㅎ
- P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