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봐야 할 작품

오른쪽 작품은 <나무와 여인>으로, 박수근 화백의 나목 시리즈 중 한 점입니다. 소설가 박완서의 장편소설 <나>의바탕이 되었던 작품입니다. 그는 유독 나무와 여인을 많이 그렸습니다. 그림의 크기를 바꾸거나 구도를 조금씩 바꾸며 반복해서 그렸죠.

*박수근, 나무와 여인, 1962

박수근 화백의 유년기를 이야기할 때 놓쳐서는 안 되는 포인트가 있습니다. 그가 어릴 때부터 19세기 프랑스의 농민 화가 ‘장 프랑수아 밀레‘를 존경했다는 겁니다. 그의 대표작이 된 <만종>을 보고 크게 감동했다고 하는데요, 이 작품은더할 나위 없이 유명하죠. - P145

"나는 그림 그리는 사람입니다. 재산이라곤 붓과 팔레트밖에 없습니다. 당신이 만일 승낙하셔서 나와 결혼해주신다면 물질적으로는 고생이 되겠으나 정신적으로는 당신을누구보다도 행복하게 해드릴 자신이 있습니다. 나는 훌륭한 화가가 되고 당신은 훌륭한 화가의 아내가 되어주시지않겠습니까?"
화가들의 삶을 공부하며 예술가들의 감수성과 어휘력에감탄할 때가 많습니다. 이렇게 솔직하고 로맨틱한 구혼 편지라니요. - P151

박수근은 그녀를 빨래터에서 처음 만났는데요, 그래서일까요.
그곳은 그의 작품세계에 자주 등장합니다. 아마 김복순 여사를 만난 곳이니만큼, 그에게 더욱 특별한 장소였을 겁니다.
여섯 명의 여인이 냇가에 줄줄이 앉아 빨래하는 중인 이작품은 2007년 45억 2천만원에 낙찰되며 화제를 낳았습니다. 한때 한국에서 가장 비싼 그림으로 불리기도 했죠.

*박수근, 빨래터, 1950년대후반 추정 - P152

박수근은 평창동판자촌에 터를 잡아 본격적인 전업 작가로 활동하는데요, 가족과 함께 살면서 생활은 더욱 궁핍해져 갔습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1952년부터 1963년까지 이곳에서 그림으로 생업을 꾸려가던 시기가 화가로서는 전성기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 그의 그림엔 유독 여성과 나무가 자주 등장합니다. 힘든 노동을 하는 여성과 잎사귀가 다 떨어진 나목은춥고 배고팠던 전후 시대를 맨몸으로 견뎌야 하던 우리의자화상입니다. 무겁고 힘겨운 삶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묵묵히 살아가는 모습이죠.  - P155

질감이 느껴지는데요, 그림에 나타나는 우둘투둘한 특유의 마감은 박수근의 개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부분이기도합니다. 그는 물감을 아주 두께감 있게 덧칠한 다음, 그 위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마치 화강암 위에 그림을 그린 듯한 느낌을 주죠. 그래서 초가집의 흙벽이나, 사찰의 돌조각 등을 연상시키죠.  - P155

박수근 화백은 지인의 소개로 미군 부대에서 잡부 자리를얻게 됩니다. 다행히 크지는 않아도 꾸준한 봉급을 타게돼 가난을 조금은 덜 수 있었죠. 그러다가 미군 PX에서 초상화를 그리면 또 돈을 더 벌 수 있다고 해 초상화도 그리기시작합니다.
이 시기는 굉장히 중요합니다. 바로 《나목》을 쓴 박완서작가와의 인연이 생기죠. 이 둘은 1951년 PX 초상화부에함께 일했습니다. 20살 박완서는 정규직 영업사원이었고 30대 후반 박수근은 비정규직으로 그림을 그렸습니다.
박완서가 영어로 미군을 불러오면 박수근은 미군의 손수건이나 스카프에 가족, 애인의 모습을 그렸습니다. - P157

1964년 국전에 할아버지와 손자>를 출품했는데요. 이시기 박수근의 몸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았습니다. 이런 처지에 끝까지 작품 활동을 이은 것만 봐도 그의 그림에 대한 열정이 느껴지죠.
작품 속에는 할아버지와 손자의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박수근, 할아버지와 손자, 1964 - P163

이 작품이 그의 마지막 출품작이었습니다. 그는 간경화심해져 청량리 위생병원에 입원했으나 회복의 가망이없었습니다. 결국 한 달 후 퇴원해 집으로 돌아와 눈을 감습니다. 1965년 5월 6일이었습니다. - P1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