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사전이란 부동의 질서와 조화를 담고 있는 총체적인 체계이고 의심할 수 없는 권위를 지닌 책이라고 생각한다. 사전에 담긴 사실을 의심하지 않고권위를 신뢰해야만 사전은 참고 서적으로서 기능할수 있다. 하지만 현실은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현실에 대한 기술은 객관적일 수 없기 때문에, 사전의 무오류성은 환상일뿐이다. 사전은 현실을 비추는 거울이지만, 그 거울은 현실을 왜곡해서 복제한다. 그렇지만 틀뢴의 백과사전은 다른 거울을 비추는 거울일뿐이라 불완전하고 혼란스러운 현실에 의해 침해되지 않은 완벽한 질서를 이룬다. - P126
지금 인터넷은 우리가 사는 현실에침투하고 현실을 장악하며 인터넷이 곧 현실이 되고있다. 영화 <인셉션>에서 맺은 완벽하고 영원하고 무한한 꿈속의 세상을 떠나기를 거부했다. 지금 우리도 맬처럼 그 자체로 완벽하고 자족적인 웹의 세계를 떠나기 어려워 혼란을 겪는다. - P127
사투리는 사전에서 배제되는 단어군 가운데에서 아마도 가장 아깝고 가장 억울한(수도권에서 쓰이는 말이 아니라는 이유로 배제되다니!) 부류가 아닐까싶다. 나는 서울에서 나고 자랐지만 엄마와 이야기를할 때는 어설프게 전라도 말을 섞는다. 엄마가 쓰는전라도 말씨를 자연스레 따라가는 것이기도 하지만, 전라도 사투리에 표준어로는 도저히 표현할 수 없는어감을 담은 단어들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 P142
한편 나에게 ‘빼다지‘라는 말은 아버지의 잡동사니 물건이 가득 들어 있던 서랍을 떠올리게 하고, ‘덕석‘이라는 말은 어릴 때 겨울이면 코끝이 시릴 정도로 추운 집에 살 때 엄마가 손뜨개로 떠준 연초록색 조끼를 소환한다. 감정적 기억과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단어들. 그러니 사람은 누구나 자기만의 정의가가득 쓰인 사전, 요즘 쓰는 말과 알고는 있지만 이제는 쓰지 않는 말, 나만 아는 것 같은 말, 좋아하는 말과 싫어하는 말이 담긴 사전을 하나씩 가슴에 품고 있는 셈이다. - P149
그래서 우리에게는 더 많은 단어가 필요하다. 이를테면 나는 집 안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눈에 보이지 않는 노동(화장실에 휴지 채워 넣기, 다떨어진 생필품 사놓기, 쓰레기 버리기, 구석구석에 앉은 먼지 닦기 등)을 드높이는 장려한 단어가 있었으면 좋겠다. 또 내 마음속에 늘 어지러이 떠다니는 감정을 딱 집어 고정해놓을 단어도 있었으면 좋겠다. 곤란한 상황에 처한 사람을 돕고 싶은데 용기가 없어서 돕지 못하고 마음에 남은 짐, 누군가를 현실에서 만났을 때보다 꿈에서 만났을때 더 반갑고 애틋한 현상, 예전에 내가 저지른 어떤 실수가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잊히지 않고 늘 지금의 일처럼 떠오르는것 등. 그런 마음을 가리키는 단어들이 있다면, 다른사람들도 쓴다면, 나만 그런 것은 아니구나 생각하고안심이 되기도 할 것이다. - P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