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견문록 - 보르도에서 토스카나까지, 세계 최고의 와인에 담긴 문화와 역사, 반양장본
고형욱 지음 / 노브16 / 2006년 4월
평점 :
품절


 

과문한 본인으로서는 당근히 처음 들어보는 말이지만, 포도밭에 가보지 않고 와인에 대해서 논하지 말라는 말이 있다고 한다. 일면 그럴듯하게 들리기도 하고 당연 그런 말이 있을 법도 하다. 무엇이든지 기본이 중요한 것인데, 광역시의 변두리에 쭈구리고 앉아 홈파고 있는 형편에 와이너리 관광은 실로 요원한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어쩔수 없이 책을 읽는 것인데, 이 책 <와인견문록>은 일종의 여행기 되겠다. 둘러본 국가는 2국이요, 지역으로 말하자면 5개 지역, 와이너리는 8개다. 국가는 프랑스와 이탈리아요, 지역을 호명해 보면 프랑스의 보르도, 부르고뉴, 샹파뉴, 이탈리아의 토스카나, 피에몬테 되겠다. 8개 와이너리중 본인 가장 흥미땡기는 곳은 무똥 로칠드와 로마네 꽁띠.


당대 최고의 화가들이 라벨을 그린다는 샤또 무똥 로칠드. 1947년의 라벨은 장꼭도가,  1955년은 브라크의 해, 살바도르 달리는 1958년의 주인공이었다. 1964년은 조각가 헨리 무어, 1967년에는 세자르가, 1969년에는 호안 미로가, 1970년에는 마르크 샤갈이, 엔디 워홀은 1975년, 키스하링이 귀여운 느낌의 산양 두 마리를 그린 것은 1988년이다(이거 어디선가 봤던 거 같은데, 신의 물방울에 나오나?.) 특히 1973년의 라벨은 피카소에게 헌정되었다고 한다. 그해는 피카소가 숨을 거둔 해였다. 1973년은 작황이 안 좋은 빈티지였지만 피카소의 그림으로 인해 수집가들의 표적이 되고 있다고 한다. 아시아에서는 일본 화가 두명이 무똥의 라벨을 디자인 했고, 1996년에는 첫 중국화가가 등장했다고 한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도 2010년이 지나기 전에 무똥의 역사에 이름을 남길 것이라는 예측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고 한다.


그 이름값과 희소성이라는 측면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도멘 드 라 로마네 꽁띠. (줄여서 DRC).  DRC를 마신다는 것은 와인 애호가들에게는 꿈이자 행복이란다. 축구경기장 크기만한 로마네 꽁띠 밭(0.018제곱미터)에서 나오는 와인은 일련번호가 붙어 있다. 1964년에는 9145병이 생산되었지만 1987년에는 2975병이 생산되었을 뿐이라고 한다. 매년 세계 유수의 식당과 부호들이 선점해 우리 같은 인사는 와인병 구경하기도 하늘에 올라 별따기나 마찬가지. 전체 로마네 꽁띠 생산량의 0.75%가 우리나라에 할당된 양인데 풍작인 해에는 36병, 그렇지 않은 해에는 24병 정도가 국내에 들어온다고 한다. 로마네 꽁띠 국내 출시가격은 400만원이 넘는다고 한다(물론 빈티지 따라 천차만별이겠지만). 내...참.. 먹고 죽을려고 해도 구할 수 가 없겠네...


책이 정사각형 모양이고 조금 무거워 침대에 누워 읽기에 조금 애로가 있었다. 팔에 쥐가 날뻔도 했다. 미국과 칠레 등 신세계 와이너리에 대한 소개도 좀 있었으면 좋았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여하튼 와인에 관심있는 인사들은 한 번 읽어봐도 좋을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