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의자 X의 헌신 - 제134회 나오키상 수상작 탐정 갈릴레오 시리즈 3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양억관 옮김 / 현대문학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목하 추리소설이 대세~ 까지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적어도 무시못할 한 세를 이루고 있는 건 사실이다. 추리문학이라는 것이 이류 삼류 따라지로 분류되며 시간 떼우기용으로 취급되거나 일부 메니아들 사이에서만 공유되던 시절도 이제는 갔다(사실 간 지 좀 된 것 같다). 무대의 전면에 등장한 추리문학이 이른바 각광을 받고 있으니 북풍한설 몰아치는 변방에서의 풍찬노숙도 이제는 옛말이 된 듯하다.


20여년전 초등학교 시절에 읽은 명탐정 셜록 홈즈와 괴도신사 루팽이 이제는 성인용 양장본으로 부활했다.(아~ 돌이켜보면 그 시절의 홈즈와 루팽은 얼마나 뛰어나고 또 얼매나 멋졌던가) DMB(동서 미스터리 북스)야 뭐 오랜 옛날부터 일편단심 한 구멍을 파고 있었지만, 국내 유수의 출판사들이 최근 몇 년 사이에 숱한 동서고금의 추리소설들을 경쟁적으로 쏟아내고 있다. 특히 일본 추리소설은 범람의 수위에 이르고 있다는 생각이다. 어디 문밖 가까운 곳에 숨어있다가 신호가 울리면 한꺼번에 쳐들어 오기로 자기들끼리 몰래 작당하고 있었던 것처럼 말이다.


히가시노 게이고(백야행), 다카노 가즈아키(13계단), 미야베 미유키(모방범 : 일전에 사놓았는데 아직 읽지는 못했다), 우타노 쇼고(벚꽃지는 계절에 그대를 그리워하네 : 제목이 너무 마음에 들어 읽어 봤는데 끝장을 보고 나니 참 씁쓸하고 쓸쓸하면서 어째 기분이 조금 더럽기도 하더라), 교고쿠 나즈히코(우무베의 여름), 요코미조 세이시(옥문도) 기타 둥두리 둥둥


뜻있는 인사들은 스스로를 돌아보는데 게으르지 않은 법이다. 넘쳐나는 외국 추리소설 속에 거의 불모지로 내팽겨쳐진 우리나라 추리문학의 실상을 생각해보자면 실로 안타까운 마음 어찌할 길이 없다. 최근에 역사추리물 같은 몇 편의 작품이 있었다고는 하지만 판타지 문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비하다면 우리나라에도 과연 추리문학이라는 것이 있는가 의심스러운 심정이다.


생각해 보건데 수백권에 다다르는 DMB시리즈에 아국 추리소설이 한 편도 없다는 것은 과하다는 생각이다. 편편이 주옥같고 기라성 같은 그 목록에 설사 된장같은 우리나라 작품이 꼽사리 끼일만한 자리가 없다고 하더라도 말이다. 흔히 말하는 세계 100대 거시기 뭐시기 하는 것들에는 수준이나 인지도가 조금 미달이더라도 자국의 것을 한두개 정도는 끼워 넣기 마련이고 또 남들도 대충 그려려니 하는 것이다. 인지상정이라는 것이다.


동서문고도 나름으로 출판에 있어 무슨 굳은 원칙 같은 게 있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한국 추리문학의 대부라는 김성종의 작품 중 한 두 편 정도는 그 목록에 넣아줘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비록 주인공이 무슨무슨 ‘탐정’이 아니고 ‘형사’라고 하더라도 말이다. 웃기게도 탐정은 기맥히고 칼날같은 추리에 제격으로 어울릴 것 같은데, 형사라고 하면 왠지 죄없는 사람 무지막지하게 두드려패서 허위자백 받아내는 그런 이미지라 조금 난감스러운 느낌도 없지 않다. 시류에 무관심할 수 없는 소심한 소시민으로 도도히 흐르는 유행을 거스를 수는 없는 법이다. 하여 최근 몇 편의 일본 추리소설을 읽게 되었는데 모두 재미있었다.


<용의자 x의 헌신>도 재미있게 읽었다. 몇가지 사소한 불만도 있다. ①야스코의 살인동기가 좀 약하다는 생각. 전남편이 상습적이고 악질적으로 폭력을 휘두르거나 금품을 갈취하는 것도 아닌 것 같다. 뭐 아무렴 어떠랴 우발적인 살인인데. ② x의 헌신은 야스코에게는 너무 큰 부담일 것이다. 헌신이 아니라 편집증이다. ③ 그리고 아무 죄없이 죽은 노숙자는 너무 억울하지 않은가 말이다. 정도.


이건 여담인데, 부산 해운대 전망 좋은 곳에 사재를 털어 우리나라 최초로 추리문학관을 세우고 나름으로 한국 추리문학을 위해 불철주야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김성종씨가 일전에 부산에서 시의원으로 출마했다는 신문기사를 본 적이 있다. 당락의 소식은 접하지 못했다. 그와 관련해서 몇가지 생각나는 점들. 그가 1969년도 신춘문예 출신이라는 점. 당시 당선작 제목이 아마도 <경찰관>이었던 것 같다. 신춘문예 출신으로 순수문학이 아닌 추리소설을 쓴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결정이 아니었을까 생각해 본다. 또 하나.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던 MBC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가 그의 작품이라는 것. 최재성과 채시라가 철조망을 사이에 두고 나눈 뜨거운 이별의 키스씬은 당시로서는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소설도 무척 재미있고 감동적이었지만 문단의 평가는 호평도 혹평도 아닌 무관심이었던 것 같다. 지금도 생각에 <여명의 눈동자>가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하는 것은 작가의 출신성분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용의자 x의 헌신>에 대한 리뷰를 쓴다는 것이 추리소설 전반에 대한 단상으로 변질되고 말았다. 본 책에 대한 성실한 리뷰를 써내지 못했으니 양해를 구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