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커홀릭 1 - 변호사 사만타, 가정부가 되다
소피 킨셀라 지음, 노은정 옮김 / 황금부엉이 / 200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재미있다. 그 내용에 대하여는 주절주절 논란이 있을 수 있겠지만 여하튼 일단은 재미있다. 재미있다는데 이단삼단사단은 어쩌고 저쩌구 구구단을 외울 필요는 없겠다. 머지 않아 곧 영화로도 나오지 싶다. 사만타 스위팅에는 누가 어울릴까. 좌충우돌 가정부 역할로는 르네 젤위거가 어울릴 것도 같은 데, 국제기업전문 엘리트 변호사라는 직책을 덮어 씌우기에는 어째 조금 난감한 것 같기도 하다. 나다니엘엔 누가 어울릴까? 가이역은 빤질빤질한 사람이 어울리겠지. (사실 가이는 사만타에게 얻어터질 정도로 질 나쁜 사람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가이로서는 나름으로 사만타를 위해 최선을 다 했다고 볼 수도 있는데 조금 안된 마음도 들었다. 가이의 말대로 사만타의 가정부 생활은 일종의 휴가였을지도 모른다. 이제는 정신을 차리고 본업으로 돌아가라는 가이의 말을 여러 가지 의미에서 정당했다.)

우리는 보통 소설을 읽을 때 소설을 소설로서 읽지 않고 사실로, 현실로 읽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논란은 항상 여기에서 싹트는 법이니, 선동자들이나 계몽주의자들이 영화나 소설을 이용하는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영화 다빈치코드를 둘러싼 논란(뭐 그리 큰 논란은 아니지만 전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유독 이 영화를 둘러싼 논란이 심하다는 신문보도를 본 적이 있다)을 보면서 왜 영화를 그냥 영화로 보지 못하나 하는 생각도 해본다.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의 관계나 뭐 그런 것들은 학자들에게나 맡겨두고 영화는 그냥 영화로 재미있게 보면 된다. 댄브라운은 저명한 성서학자가 아니다. 그냥 소설가이고 미스터리 작가일뿐이다. 


영국의 유명 로펌 엘리트 변호사의 생활이라는 것이 어떤지 나는 알지 못한다. 스캐줄이 6분 단위로 짜여져 숨쉬고 고르기 어렵고, 몇 년동안 휴가 한 번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당근지사이고, 하얗게 뜬 얼굴로 며칠밤을 지새우는 것도 여사며 다반사고, 자신의 생일을 두 대의 전화기와 함께 해야 하는 일도 감내해야 하고, 모든 주말을 기꺼이 반납해야만 유지해 나갈 수 있는 그런 자리인지 나는 알지 못한다. 소설에서는 그렇지만 사실은 그들의 생활이라는 것이 세계 유수의 휴양지에서 멋진 휴가를 보내기도 하고, 우리같은 서민들은 꿈도 꾸지 못할 산해진미로 만찬을 즐기며, 수시로 또는 때때로 이런저런 모모한 유명인사들과 사교하고, 멋진 스포츠카를 몰고 다니며, 엄청난 돈을 벌고, 많은 사람들로부터 선망을 받는 그런 자리일지도 모른다. 


소설은 해피엔딩으로 끝나지만, 우리의 상상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그후에는 어떻게 될까 책을 덮고 가만 생각해 본다. 길어야 수년, 짧으면 몇 개월만에 그들의 밀월관계는 끝날 것이다. 사만타같은 여성이 시골에서 정원사의 아내로 인생을 끝낼 수는 없는 것이다. 시골에서 자원봉사 변호사(영화 패밀리맨에서 니콜라스 케이지가 제2의 삶을 살 때, 마누라 테아 레오니가 했던 그런 역할)같은 것을 할 수도 있겠지만 어쨌든 결국 사만타는 런던으로, 나다니엘을 콘웰로 각자 자신의 원래 위치로 돌아가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한적한 시골에서 소박한 직업이지만 시간적으로 여유있는 삶을 살며, 가족을 위해 요리도 하고, 단추도 달고, 푸른 하늘도 눈에 담아보고 서늘한 바람도 얼굴로 맞아보며 멋진 남자와 사랑도 하며 사는 삶도 한 삶이겠고, 유명 로펌의 엘리트 변호사로 눈코가 어디갔다 붙었는지 모르게 바삐 돌아가며 수천만 파운드를 주무르고 억대의 연봉을 받으며 중요한 계약을 성사시키고 파트너 변호사로 승진하고 선망을 한 몸에 받으며 사는 삶도 한 삶일 것인데, 역시 판단은 각자의 몫이지만 결국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할 것이고 또 그것을 행할 능력이 자신에게 있는가 하는 문제도 빼놓을 수 없겠다. 국제기업전문변호사가 어느날 문득 가정부가 될 수는 있겠지만, 가정부가 어느날 자고 일어나 불현듯 국제기업전문변호가가 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이 책은 정말 재미있다. 수준있는 하이틴 로맨스라는 생각도 들지만 여하튼 최근에 이렇게 재미있는 책을 읽은 기억이 감감하다. 영화도 기다려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