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자의 로망 백서
박사.이명석 지음 / 북하우스 / 2005년 7월
평점 :
절판


음... <여행자의 로망 백서>라.. 땡땡구리하게 땡기는군...그런데 로망이 뭐지? (무식의 폭탄로!!) 잽싸게 야후 검색. 로망이란 로맨스, 소설, 특히 장편소설이라 한다. 중세 기사문학 또는 연애담 등을 말하기도 한단다. 아항~(도 터지는 소리) 거두절미. 감상은 이렇다. ‘니미, 읽지 말걸 그랬다.’이다. 흔히 하는 말로 염장질 당한 느낌이다. 경상도 사투리로 부애지른다고도 한다.


본인이 처음 비행기를 탄 것이 그러니까 2002년 12월이니 과인의 보령 34세 때의 일이다.(말하다보니 본인의 나이가 뽀록났다. 헛되이 흘러간 세월이 그만큼이라니 새삼 놀랍다.)  눈치빠른 분들은 짐작하셨겠지만 신혼여행 되겠다. 생전 해외여행 한 번 못 해본 넘이 처음으로 탄 비행기가 서울발 파리행 대한항공 보잉 747기(맞나?)였던 것이다.


지금도 그때 생각을 하면 마음이 설레발을 친다. 파리에 도착한 첫날, 해는 벌써 떨어졌는데 숙소를 찾지 못해 우왕좌왕 했던 일, 우여곡절 끝에 아담한 호텔로 숙소를 정하고 바로 나와 세느강 유람선을 탓는데 너무 피곤해 졸다가 마누라한테 혼난 일, 짧은 일정에 루브르를 포기하고 오르쎄를 선택했으나 미술관 관람에 결국 하루를 온전히 소비해 또 마누라한테 혼난 일, 식구들과 직장동료들 선물 고르느라 쇼핑몰 돌아다니며 또 다시 하루를 허비하여 마누라한테 또 다시 혼난 일, 파리 인근 샤르뜨르에 갔다가 풍경이 너무 예뻐 들어간 한 레스토랑에서 의사불통으로 주문을 못해 20여분동안 쩔쩔매던 일(그냥 맥도날드나 먹을 걸), 4박 5일동안 파리시내를 오가며 수십 번도 더 타고 내렸던 지하철, 그 지하철역에서 집시 꼬마들이 담배를 피우며 엉겨 붙어서 당황했던 일. 색색의 과일들이 싱그럽던 어느 아침 무뿌따르 거리의 노점상들도 잊히지 않는다. 그때 품고 다녔던 가이드북은 김영사의 <헬로 빠리>였다


집구석에서 책이나 보고 들눕어 뒹구는 것을 만고의 최강호강으로 여기던 인사가 여행의 묘미를 조금이나마 알게되니 아뿔싸! 몰랐으면 모르되, 꿀맛을 한 번이라도 본 넘은 그 맛을 잊지 못하는 법이라. 그날 이후로 본인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헛된 몽상의 시간과 오랜 인고의 세월이었으니 봉급쟁이 주제에 일년에 사오일 휴가내기 어려운 처지로 어찌 오랜 여행을 바랄것가. 하여 참고 견디어 왔으나(그사이 홍콩에 한번, 일본 큐슈에 한번 다녀왔더랬다) 목하 <여행자의 로망 백서>를 일독하고 나니 불현듯 가슴이 벌렁거린다. 혈압이 오른다. 막힌 방구가 터질라나 궁뎅이가 들썩거리고, 가라로 진단서 끊어 휴직이라도 해볼까 온갖 잡스런 생각이 한심한 부루스를 춘다.


탈것의 로망, 프티 부티크 호텔의 로망, 작은 박물관의 로망, 책의 로망, 골목길의 로망, 컬렉션의 로망, 도장꽝의 로망, 온갖 로망에 공감했고 그중 지도의 로망에 내 심금이 울었다. 지난번 특강에서 한비야는 어릴 적부터 커다란 세계지도를 거실벽에 걸어놓고 꿈을 키웠다는 이야기를 했었다. 나도 가끔씩은 옛날 사회과부도를 꺼내놓고 부질없는 공상에 빠지곤 한다. 책상위에는 작은 지구본도 하나 마련했다. 저자의 말대로 ‘그 모든 로망은 지도로부터 시작되었’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