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제단 - 개정판
심윤경 지음 / 문이당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본인은 어렸을때부터 아버지로부터 정려각(旌閭閣) 할매라는 분에 대한 이야기를 무수하게 들으면서 커왔던 것인데, 심윤경의 달의제단을 읽고 나니 이건 결정적으로 우리 집안의 정려각 할매 이야기와 한가지구나 하는 생각이 문득 들어 몇자 적어보고 싶은 생각이 동했던 것이다. 어린 아들을 앉혀 놓고 정려각 할매 이야기를 하실 때 아버지에게서는 가문에 대한 긍지와 조상에 대한 애정, 일족의 영광된 내력을 자손들에 자자손손 간단없이 전수해야겠다는 의무감 같은 것들이 무럭무럭 피어올라 좁은 방안을 가득 채우곤 했었는데, 그때는 정말 무슨 소릴하시는지도 모르겠고 듣기 싫어 죽을 지경이었던 기억이 난다.

정려라는 것은 이른바 충신, 효자, 효녀, 열녀 등을 기려 나라에서 표창을 내리는 것으로, 문을 세우면 정려문이 되고, 비석을 세워 조그마한 전각으로 덮으면 정려각이 된다. 익히 알고 있는 열녀문도 정려의 일종이 되겠고, 이런 정려각들이 전국적으로 수천개가 된다고 하니 안타깝고 서러운 사연도 많았다는 이야기이다.  

우리 집안의 정려각 할매 이야기는 이렇다. 의성 김씨 집안에서 우리 집안으로 시집온 정려각 할매는 봉제사 접빈객에 한치의 빈틈이 없을뿐더러 부덕이 높고 높아 집안 어른들의 칭찬은 물론이요, 동네방네의 칭송도 자자하게 회자했던 것인데, 몹쓸 병에 걸려 지아비가 먼저 세상을 버리자 할매도 남편을 따라 자결하려고 했으나 태중에 유복자 있으니 차마 목숨 끊지 못하였고 열달지나 해산하자 여식이라, 그로부터 돌아누워 곡기를 끊고 단식하여 자결하게 되니 할매의 그때 나이 이십대 초반이었고, 나라에서 그 부덕의 높음을 표창하여 정려각을 내렸던 것이다.

전해내려오는 이야기를 빌리자면 이 정려각 할매가 친정 조부의 병환에 문안차 친정에 가게 되었는데, 할아버지는 이미 돌아가셨고, 친정아버지와 지관이 묏자리를 두고 상의하는 것을 우연히 듣게 되었는데, 지관 왈 " ....이 묏자리는 자손이 번창하고 입신양명할 자손들도 수두룩하니 나올 자리이기는 하나, 혹시 물이 나올지도 모르며, 물이 나오면 천하명당이라도 아무 소용없는 것이니 오늘 땅을 파놓고 내일 아침에 가보면 물이 나오는지 안나오는 지 알수 있을 테니 그때 가보고 정하도록 합시다. "

이 말을 엿들은 정려각 할매, 묏자리가 탐나서 그날밤에 몰래 물동이를 이고지고 날라 밤새도록 묏자리에 물을 퍼부었던 것이니, 아침에 지관과 함께 묘자리에 가본 친정아버지, 아깝지만 어쩔수 없이 다른 곳에 할아버지의 묘를 쓰고 말았으니..시집을 위해 친정을 배신한 사례가 수다하거니와 낙랑공주가 호동왕자를 위해 자명고를 잡아 째버렸듯이 아녀자는 출가하면 외인인 것이다. 장례가 끝난 다음에 정려각 할매가 그 아버지를 졸라 못쓰게된 묏자리를 얻게 되었고, 그 후 지아비가 세상을 뜨자 그 자리에 모셧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어, 정려각 할매가 시집을 위해서 얼마나 충성을 바쳤는지 증명하고 있다 .  할매에게는 황송스럽지만 본인의 현재 몰골로 보건데 그 묏자리가 과연 천하명당인지 심하게 의심스럽다. 연이나, 할매의 노고에 보답하기 위해서라도 분투해야 겠다는 생각이 때때로 불끈 솟기도 한다. 

언문 편지에 등장하는 며느리와 어린 손녀를 죽이는 조씨 집안의 그 비정한 할배같은 사람이 옛날에는 실제로 있었을 것이고, 어쩌면 지금도 그 비슷한 사람들이 있을지 모른다. 조선시대에는 조선시대에 맞는 삶의 방식이 있을 것이고 지금은 지금에 맞는 생활방식이 있을 것이다. 조선시대 사람이 현재에 와서 살아가기는 어려울 것이고, 지금 사람이 조선시대에 가서 살아가기도 역시 어려울 것이다. 과거의 기준을 현재에 들이 밀수 없듯이, 현재의 잣대로 과거를 재단할 수는 없다는 생각이다. 어느 시대에나 부조리와 불합리는 항상 존재해 왔으며, 역사의 발전을 믿는 사람들은 그 부조리와 불합리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역사의 순환성에 의미를 두고 있거나 황금사관에 젖은 사람들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똑 같고 어쩌면 과거가 지금보다 훨씬 나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도무지 알 수 없는 노릇이다. 다만 가슴아픈 일은 어느 시대에나 있었고, 앞으로도 계속 있을 것이니, 인간의 한계이자 가능성이기도 하다.

책표지를 보니 작가 심윤경이 72년생이고, 서울태생으로 서울대 분자생물학과를 나왔다고 되어있는데, 그 연세와 전공과 출신성분에 어울리지 않는 작품에 약간 놀랍다. 약관의 김지하가 오적을 쓰자, 어느 저명하신 한학자가 보고 놀라자빠지며 언제 그렇게 한문공부를 많이했냐고 했다는 이야기가 문득 생각난다. 옛날에는 공부 잘하는 넘은 인간성이 더럽거나,  운동을 못하거나, 아니면 인물이 못생기거나 어쨌든 못한 구석이 한둘은 있어서 공부 못하는 넘들에게 일말이나마 위안거리를 제공하기도 했는데 요즘은 공부 잘 하는 학생이 놀기도 잘 놀고, 인물도 좋고, 인간성도 좋고, 운동도 잘해서 인간의 자질과 품성에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나타나는 것 같아 걱정스럽다. 살아 가기가 점점 어려워 진다.

아무리 속궁합이 잘 맞다고는 하지만 꽃미남 조상룡이 뚱녀에다 불구이고 추녀인 정실이를 정말로 사랑할 수 있을지 대단히 의문스럽다. 물론 본인의 이런 의문은 진실한 사랑을 모르는 한심스러운 한 남성의 삐뚤어진 애정관때문이겠지만 나름대로 세상을 살아보고 겪어본 본인의 가감없는 솔직한 심정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