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박민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명불허전이라 했던가! 自古로 빛나는 이름이 헛되이 전해지는 법은 없다고 했으니(물론 헛되이 전해진 이름도 없지는 않을 것이다.) 2003년도에 "지구영웅전설"과 "삼미..." 두편의 소설로 문학동네신인상, 한계례문학상을 수상한 작가는, 말하자면 혜성처럼 나타났다는 말이 어울릴 것 같다. 흘러내리다 흐지부지리 사라지는 그런 유성이 아니라 그 공전주기가 족히 수백년은 되고 또 그 꼬리는 한정없이 길이 온갖 운석들과 작은 소행성들과 우주쓰레기들과 별별 가스 등등을 거느린 커다란 혜성말이다. 색안경끼고 긴머리 휘날리며, 쌍칼을 휘두르며 불현듯 한 무사가 무림에 새로이 출사하게 되었으니 그 쌍칼 맛을 조금이라도 본 강호제현들께옵서는 눈을 동그랗게 뜨고 깜짝 놀라기도 했을 것이다. 

일단이단삼단간에 소설은 재미있다. 그 내용을 조금 냉소적이고 무례하게 요약하여 정리하자면 한심두심한 인생들의 딸딸이 같은 이야기라 하겠다. 인생의 패배자들과 삶의 낙오자들을 위로하는 쓸쓸한 연가라 할 만한 것이겠지만 그것은 다 허사(虛事)요 또 모두 허사(虛辭)다. 자기 스스로가 어떻게 생각하느냐도 중요하겠지만 남들이 어떻게 봐 주느냐도 쉽게 생각할 문제는 아닌 것이다. 언필칭 민주주의사회는 다수결의 원칙을 존중한다고 하니 남들이 다 실패한 인생이라고 주장하고 손가락질 하는데 자기 혼자 괜찮다고 한다고 해서 정말 괜찮은 건지는 잘 모르겠다. 이런 사람들은 진실로 득의한 사람이 아니면 자신을 속이는 위선자 중 하나일 것이다. 하루 한사발 물과 한그릇 밥으로 누추한 거리에 근근히 사는 것을 보통 사람들은 견디지 못하였으나 안회선생께옵서는 그 즐거움에 대해 말씀하고 계시니 이런분들을 일러 득의한 사람이라 하겠다. 조성훈과 나와 조르바가 과연 득의의 그 높은 경지에 도달했는지는 의문이다.
   
이건 여담이지만 본 책을 읽으면서 장정일이나 하루끼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1988의 베이스볼...어쩌고 하는 소제목은 하루끼의 "1973년의 핀볼"을 연상시키고, 조르바도 하루끼가 "우천염천"인가 "먼북소리"인가 어디선가 조르바형 인간, 비조르바형인간 운운하던 부분을 생각나게 한다. 3명의 애인과 7명의 섹스파트너를 거느린 여성동무와의 연애담도 물론 빠질 수 없겠다. 하루끼나 장정일 등은 파격적인 연애담을 무슨 청춘의 자랑이나 훈장처럼 생각하는 건 아닌지, 엽기적이고 파격적인 연애의 추억이 청춘을 헛되이 낭비하지 않고 진정 고뇌하며 보냈다는 무슨 증명서쯤이나 되는 것으로 생각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삼미...에서 위 연애담이 꼭 필요한 지 의문이다. 별 시답잖은 위 연애담이 없었다면 소설이 더 산뜻하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그랬거나 말거나 어쨋거나간에 재미있게 읽었고, 명불허전이고, 그래서 마음이 허전하기도 하다.

소제목으로 등장하는 80년대 유행했던 대중가요 가사에는 아련한 그리움 같은 것들이 찐득하게 붙어있어 어째 조금 쓸쓸하다. 그 옛날에는 번성했으나 지금은 잡초만 무성한 옛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며 시라도 한 수 읊고 싶은 그런 기분이다. 물론 나는 말탈 줄도 모르고 작시의 재주도 없다. 그냥 그렇다는 이야기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