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저러나 어쩌나저쩌나 시간은 흘러 시절은 바야흐로 폭염의 계절
똥구녕이 탁 트이는 시원한 맥주가 생각나는 계절이 되었다.
게다가 더구나 마누라가 맥주를 몹시도 좋아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 할 것 없이 거의 매일 저녁 마누라와 둘이 앉아
한 잔의 맥주로 그날 하루분의 정신적 육체적 노동으로 피곤한 심신을
위로 격려하며 하루 일과를 마무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더불어 소생이 온갖 잡다한 것을 수집하는 취미가 있는데
그중 하나가 온갖 술병 - 와인, 위스키, 사케, 소주, 맥주, 약주, 막걸리 -
에 붙어 있는 라벨을 수집하고 있고 맥주로 말하자면 병뚜껑까지 모으고 있는데
맥주 라벨 모은 것은 백여만장에 이르고 맥주 병뚜껑 모은 것이 50여만종이 넘는다.
(상기 숫자중에 ‘만’자는 강조용법이니 알아서 접수하시기 바란다.)

 

당근한 이야기지만 주류 관련 책도 대충 여러 권을 가지고 있는데
금번에 <500 맥주 beer> 란 책이 떡 나오고 보니 사지 않고는 베길 재간이 없는 것이다.
하여 일단 사기는 샀고 대충 훑어도 봤다.
안 먹어본 맥주가 많다. 뿐 아니라 소생이 가지고 있지 않은 라벨과 병뚜껑도 당근 많다.
어디서 구할꼬 궁리를 해본다. 비행기 함 타야겠다는 생각도 든다.  

 

수집이라는 행위에는 약간의 중독성이나 마성이 내포되어 있는 것 같다.
소생이 직접 그 많은 종류의 와인이나 맥주나 소주나 사케를 다 사먹을 수 없으니
주위에 도움을 구하지 않을 수 없다. 친구나 친지에게서 빈병을 얻기도 하고
어디 술자리에서 소장하고 있지 않은 라벨이 보이면  빈병을 가방에 넣어 오기도 하고
급기야 요즘은 우리 아파트 단지내에 있는 재활용 수거장을 뒤지고 있는 형편이다.
한번식 재활용 쓰레기 버리러 갔다가 때묻은 빈병 몇 개 주워오면
마누라가 한심하다고 혀를 끌끌 찬다. 왜 아니겠는가. 수집이란 그런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산영 2010-06-14 19: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저런, 우리 나라에서 모을 수 있는 것은 다 보이는 건 같네요. 외국에 잠깐 갔는데도 저 책에 나오지도 않는 맥주는 더 많고 더 많더군요.

붉은돼지 2010-06-22 10:26   좋아요 0 | URL
기네스도 없고...산미구엘도 없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