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사실인지도 모른다. 허지만 그러나 나는 얼마전에 처음 알았다. 비록 늦게 알았지만 부끄럽지는 않다. 모르면서 아는 척하는 것이 부끄러운 것이다.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하는 것이 아는 것이라고 했다. 이게 무슨 소린지 말인지 개인지 소인지 모르겠다. 일인 다치바나씨의 고양이 빌딩만큼은 안되어도 그 고양이의 발톱만큼 만한 것이라도 내 개인 서재를 이루는 것을 나름 필생의 과업으로 삼고 있는 본인이고 보면 고속도로 휴게소 건은 일종의 성과라 할 만 하다. 그렇다면 고속도로 휴게소 건이란 무엇인가. 다름 아니다. 고속도로 휴게소에 가면 도서를 헐값에 살 수 있다는 말이다. 당근 쓸만한 책은 별로 없다. 그래도 혹간 오다가다 괜찮은 넘 한 둘은 걸려 든다.  

 

본인 열심히 책을 사모으고 있다. 그간 독서인의 가면을 쓰고 교양인 흉내를 좀 내기도 했지만 본색을 속일 수는 없는 법. 얼마전부터 도서 수집인으로 변신 완료했다. 지금 생각해보면 지난해 이사하면서 알라딘 중고샵에 팔아먹은 수백권의 책들이 몹시 아쉽기도 하다.(수백권은 좀 거시기 하지만, 그래도 한 2~3백권은 된다) 그래도 내 혈같은 책을 팔아 번 돈이 헛되이 쓰이지는 않았다. 그 덕분에 신용양호한 자로 지금까지 버티고 있다.  

 

돈 없으면 공부하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돈없으면 수집 못한다. 컬렉터에게 재력은 기본이다. 그 다음이 수집 대상에 대한 탐욕과 욕정(?)이다. 본인 도서 수집인으로서 한달에 10~20만원 상당을 지출하고 있다. 주머니에서는 돈이 줄줄 새고 본인 콧구멍에서는 뜨뜻한 혈이 줄줄 흐른다. 컬렉터의 숙명이려니 생각한다. 컬렉터라고 아무 책이나 무작정 사들이지는 않는다. 책을 구입하는데 무슨 성문화된 규정 같은 것은 없지만 그래도 글로는 표현키 어려운 심정상의 불문율 비슷한 것은 있다. 열린책들의 미스터 노 시리즈 50% 세일 행사는 참 감사한 이벤트다. 각설하고, 묘사 때문에 안동에 다녀오는 길에 군위휴게소에서 기중 쓸만한 넘으로 3권 건졌다. 권당 4천원. 당근 새책이다. 면면을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다람쥐 도토리 모으듯 열심히 사모아 개인 도서관 하나 만들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