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수 교수의 지중해 문화기행 - 아름다운 문화 속의 매력적인 삶
이희수 지음 / 일빛 / 2003년 7월
평점 :
품절


이희수교수는 이슬람 전문가다. 우리나라에서는 결코 흔하지 않는 분야다. 기왕에 전문가가 될바에야 남이 잘 선택하지 않는 분야를 공략해 독보적인 위치를 선점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슬람관련 책을 여러권 내었고, 내가 일전에 읽은 적이 있는 예담에서 나온 '인류문명의 박물관 이스탄불 기행'이란 책을 감수한 적이 있어 이름이 눈에 익다. 저자는 정기적으로 혹은 비정기적으로 이슬람여행단을 이끌고.....눈부시게 푸른 바다와 언덕위의 하얀 집, 고대의 유적이 즐비한 지중해 일대를 돌아다니기도 하는 듯 하다. 실로 부러운 일이다.

터기 이스탄불에서 - 이스탄불, 곧 콘스탄티노플은 베니스 다음으로 내가 가보고 싶은 도시다. 해 떨어질 무렵, 붉은 노을을 배경으로 한 블루모스크의 전경이 찍힌 한 장의 사진에 나는 완전히 반해버리고 말았다. 그게 언제였는지, 그 사진이 어디에 실려 있었는지는 정확하게 모르겠다. 언제쯤 베니스나 이스탄불에 가 볼 수 있을란지 생각해보면 가슴이 답답하다. 어쩌면 꿈만 꾸다가 한 세상 마칠른지도 모른다. 그래도 책으로 읽을 수 있다는 점이 적잖게 위안이 된다. - 출발하여 그리스, 이탈리아, 남프랑스, 스페인을 거쳐 지브롤터해협을 건너 모로코, 튀니지, 이집트 등 북아프리카 일대까지, 지중해에 면한 여러나라들을 둘러보는 여정이다.

오늘날 세상에서 득세하고 있는 유럽중심의 기독교 문명에 밀려 이슬람 문명의 중요성과 의의가 폄하되고, 쇠외되고, 왜곡되고, 등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독문명이 중세 암흑기의 그 캄캄한 낭떠러지에서 더 이상 추락하지 않고 르네상스로 말 그대로 부활 비상하게 된 것도 바로 이슬람문명의 힘이었다. 정복과 침략이 아닌 문명간의 협력과 공존을 통해서만이 인류문명의 진정한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는 데 이견이 없을 것이다. 여행기를 읽게되면 자연 궁뎅이가 들썩 거린다. 몸은 사무실에 와있어도 마음은 정처없이 떠돈다. 휴유증이 며칠은 갈 것이다. 좋은 여행기일수록 위험한 책이다. 어느날 갑자기 안정된 직장과 가정을 모두 버리고 훌쩍 떠나게 될지도 모르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