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의 우연한 시선 - 최영미의 서양미술 감상
최영미 지음 / 돌베개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시집으로는 드물게 수십만부의 판매기록을 세운 <서른, 잔치는 끝났다>와 최영미의 유럽일기라는 부제를 가진 <시대의 우울>에 이어 세 번째로 읽어보는 최영미의 책이다. 최영미에게 있어 서른이라는 나이는 역설적이게도 잔치가 끝나 궁뎅이 털고 자리에서 일어나야할 종치는 시점이 아니라, 문명(文名)을 날리기 시작하는 양명(揚名)의 시발점이 아니었던가 생각해본다. [아도니스를 위한 연가], [속초에서] 등 감각적인 몇 편의 시들이 라디오에서도 심심치않게 방송되어 나오던 기억이 난다.

비록 미술을 전공했지만 대학에서 미술사를 강의하게 될 지는 몰랐다는 작가자신의 말에서 보듯이, 이는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작가의 시집에 힘 입은 바 크다는 생각이다. 이건 여담이지만 소설가, 시인 등 영화에 있어서 비전문가들이 영화평을 많이 하게 되면서 수십년을 영화공부에 시간과 정열을 쏟아부은 진짜 영화쟁이들의 입지가 좁아졌다며 동료들의 밥그릇 걱정을 하던 유지나의 이야기가 생각난다. 경제는 곤두박질치고 실업은 늘어나고 하는데도 일부는 또 살기가 더욱 윤택해졌는지 좋아졌는지 어쨋는지 요즘은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미술관련 서적들 또한 쏟아져 나오고 있는 것 같다. 그런대로 대부분이 미술전공자들의 감상 편력기라서 다행이다는 생각이다.

이 책은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 얼굴조각에서 20세기 르네 마그리트, 에드워드 호퍼의 회화에 이르기까지 형식적으로는 고대에서 현대까지 서양미술사 전체를 훑고 있으며, 화가의 우연한 시선이 아니라 작가자신의 우연한 시선에 포착된 몇편의 그림들에 대한 작가의 개인적 애호와 감상을 이야기하고 있다. 글이 어렵지 않고 도판이 깨끗해서 읽을 만하다. 카라바조도 좋지만 역시 램브란트는 무언가 특별한 것이 있다는 생각도 해봤다.

마지막 장에 나오는 [성조지와 용]은 작가의 전편인 <시대의 우울>에 소개된 브뤼겔의 [이카로스의 추락] 비슷한 감흥을 불러 일으킨다. 제목이 성조지와 용이어서 누구나 용감무쌍한 조지가 콧구멍으로 불을 뿜으며 겁나게 달겨드는 사악한 용을 영웅적으로 처단하는 그런 그림을 상상할 것이다. 하지만 화가의 관심은 성조지도 용도 아니다. 그의 관심은 숲이며, 산이며 자연 그 자체다. 진짜로 두려운 것은 불똥을 싸는 무시무시한 용이 아니라, 바로 자연이며, 성조지의 영웅적인 투쟁도 자연속에서는 그 존재가 미약하다는 이야기다. 담담한 관조의 눈길이다. 이런 그림을 그린 화가들은 내게 마치 시인이나 철학자처럼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