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당쟁사 1 - 사림정치와 당쟁 : 선조조~현종조
이성무 지음 / 동방미디어 / 200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아들이 죽었을 때 어머니 상복을 삼년복으로 해야하느냐 일년복으로 해야하느냐를 가지고 설왕설래 말이 많고 죽기 살기로 싸웠다는 사실에 대해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거나, 정말 한심두심한 통탄할 작태라고 그렇게 단순하게 생각하며 조상 욕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일독의 가치가 있을 것이다.

흔히 걸리버 여행기의 계란이야기에 비견되기도 하는 이러한 상복 등 예송문제는 그리 단순 간단하게 생각할 문제가 아니다. 이것은 당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가치관과 세계관에 관한 문제이며 또한 정권을 장악하기 위한 목숨을 건 권력투쟁과 긴밀한 관계에 있는 것이다.

이덕일의 '사화로 보는 조선역사'와 '당쟁으로 보는 조선역사'를 읽은 다음 이 책 '조선시대당쟁사'를 읽었다. '조선시대 당쟁사'는 앞의 두 책을 합한 것과 같지만 이 책들보다는 좀 더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것 같다. 이덕일의 두 저서는 꼭 집어 말할 수는 없지만 동인(남인)에 대해 조금 더 비판적인 것처럼 보인다.

이성무의 '당쟁으로 보는 조선역사'는 여말 사대부의 등장에서부터 조선전기 훈구파와의 투쟁에서 사림들이 화를 입는 사화를 거쳐, 고단한 투쟁 끝에 훈구파를 제거 한 후 잠시 전개되었던 건전한 붕당정치시대, 주적이 사라진 상황에서 필연적인 내부분열 과정, 그리고 망국의 세도정치에 이르기까지 조선사 전체를 당쟁과 당파의 관점에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역사서라 할 것이다.

이덕일과 이성무 양인이 모두 서두에 강조하고 경계하고 있는 것은 일제의 식민사관이다.. 일본인들이 일제 침략을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 내었다는 조선인들은 근본적으로 당파성이 강한 민족이어서 다른 민족의 통제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 너무 피해의식을 가지고 접근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저자의 말대로, 일본같은 무치주의 국가에서의 권력투쟁은 총칼로 하기에 칼로 자르듯 생사가 명확하고 흑백이 분명한 점이 있을 것이고, 이에 비해 조선같은 문치주의 왕조에서의 권력투쟁은 혀와 붓으로 하기에 결국은 말이 많고 말이 많다보면 왜곡되고 굴절되어 추잡해기 마련이라는 점을 십분 백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의리 명분보다는 당리 당략에 따른 정치인들의 이합집산과, 무수한 정당들이 없어졌다가는 다시 생겨나고, 갈라졌다가는 다시 합쳐지고 하는 합종연횡의 복마전같은 해방에서 작금에 이르기까지의 우리나라 정치형태를 본다면, 안타깝게도 그들의 주장이 전혀 근거없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우리가 역사를 공부하는 까닭은 과거를 거울삼아 현재를 반성하고 더 나은 미래를 계획하기 위해서 일진대, 그동안 우리들은 과연 무슨 공부를 했으며, 역사란 것이 정녕코 발전한다고 할 수 있을른지, 다만 반복 순환만을 거듭하는 것은 아닐른지....아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