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모든 것의 역사
빌 브라이슨 지음, 이덕환 옮김 / 까치 / 200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빌 브라이슨의 책은 처음이다. 그 유명한, 표지에 커다란 곰얼굴이 나오는 <나를 부르는 숲>도 미안하지만 읽어보질 못했다. 사실은 책을 사긴 샀는데, 표지를 봐서는 숲이 나를 부르는 것이 아니라 곰이 나를 부르는 것 같아서, 혹은 곰이 길을 떡하니 막고 있는 것 같아서 선뜻 그 숲으로 걸어 들어갈 용기가 안나더라는 가당찮은 이유로 일독을 미루고 있다가 서재용량 초과 도서 수만권(?)을 알라딘 고물상에 초특가 대바겐세일로 팔아치울 때 아무 생각없이 처분하고 말았던 것인데, 이 책 <거의 모든 것의 역사>를 다 읽은 작금에 이르러 어느 시인의 싯구 비슷한 것이 내 입에서 무심코 터져나오고 말았다. 그때 그 젊은 나이에 왜 그런 어리석은 짓을 했던가.  

 

 대광활광대한 우주에서부터 초극미세한 분자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와 그 위에 살았던 혹은 현재 살고 있는 모든 생물과 존재했던 혹은 현재 존재하고 있는 모든 무생물들에 대한, 말인즉슨 거의 모든 것에 관한 책이다. 대단하고 신기하다. 어떻게 이런 글을 쓸 생각을 했을까. 하기야 생각하기는 쉽겠지만 행동으로 옮기기에는 지난했을 것인데, 가만히 누워서 읽기에도 코막히고 숨찬데 거의 600쪽에 이르는 이책을 쓸려고 한다면(그것도 영어로 말이다) 과연 얼마만한 수고를 퍼부어야 하는 것일까. 문득 브라이슨씨에 대한 존경의 념이 무슨 오월의 분수처럼 솟아올라 무지개를 피운다. 호킹씨의 <시간의 역사>, 세이건씨의 <코스모스>와 더불어 과학 교양서로서 일독의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다.  

  

우리는 아무 생각없이 입으로 처넣고 코로 숨쉬며 대충 살아가고 있지만 우리를 포함한 우리 주위의 모든 것들이 그렇게도 어마어마하고 신비하고 알 수 없는 비밀과 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정말 깜짝 놀랄 일이다. 나름 독서인을 자처하는 본인도 전혀 듣도 보도 못한 이상한 분야에서 이상한 무엇인가를 알아내기 위해 혼신의 힘을, 피와 땀과 눈물을 쏟았던 인사들이 또 그렇게 많았다는 것 역시 정말 놀라운 일이다. 혹은 살아 생전에 노벨상을 받거나 빛나는 명성을 얻기도 했지만 혹은 죽은 뒤에도 몰이해와 무관심속에 잊혀지기도 했던 것이니 생각해보면 아무런 보상도 없는 그 삶이 몹시 가슴이 아프다. 과학자들에 대한 가쉽적인 묘사가 재미있고 흥미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쉬운 책은 아니다. 거의 모든 것의 어마어마한 비밀과 역사를 조금이라도 맛볼라치면 약간의 노력은 필요하다는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