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남한산성을 읽었다. 김훈의 문장이야 이미 익히 익었던 바이다. <칼의 노래>에 비해 사륙변려문 비슷한 한문 고어체의 문장과 말장난 혹은 언어유희적인 수사들이 다소 줄어 든 듯해서 <칼의 노래> 보다 좀 더 쉽게 읽히는 듯 하다. 항용 그러하지만 햇빛이 너무 밝으면 눈을 제대로 뜰 수 없는 법이다. 수사가 너무 화려미려하다 보면 그 내용이 공허해지기 쉽상밥상이란 말이다. 수사에 골몰하면 서사와는 멀어지고 서사에 메달리면 수사는 소홀해지기 마련이다. 수사도 서사도 좋지만 읽기에 재미있고 편한 것이 으뜸이라는 생각이다.

병자호란 또한 수없이 듣고 보던 바이다. 책을 읽다가 ‘용골대’의 이름을 보고 생뚱맞게도 반가운 마음이 들기도 했다. 옛날엔 그 이름만으로 어떤 멍청하고 골은 텅텅구리하게 비어있는 무식한 오랑케 장수를 상상했던 것인데 TV에 등장하는 청장 용골대는 우리의 기대에 적극적으로 부응호응한 바로 똑! 그러한 모습이었다. 병자호란은 임진왜란 더불어 이른바 조선조 양대난을 이루니 말하자면 민초에게 있어서는 최고의 고난과 참혹과 비참의 시기였을 것이다. 연이나 왜란은 이순신 이라는 걸출한 영웅이라도 만들었지만 호란이 남긴 것은 치욕과 굴욕 그리고 헛된 아집뿐이었다.


적의 칼에 베이거나 찔린 자는 그 상처로 말미암아 이미 꼬꾸라졌으므로 적의 칼꼬리를 붙들어잡고 다시 돌려 칠 수 없지만, 적의 말이나 글로 상처 입은 인사는 그 상처로 말미암아 더욱 분발하여 적의 그 글꼬리를 붙잡고 혹은 그 말허리를 붙잡고 다시 그 적에게 되돌려 칠 수 있으니, 그 치고 받고하는 것을 짐작해 보면 칼로 싸우는 싸움의 깨끗하고 단호함에 비해 글로 싸우는 싸움의 구질함과 추잡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못생기고 휘어진 불구의 나무가 산을 지키듯 구질하고 비루한 것이 질기게 버텨 결국은 청사에 길이 빛날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김훈이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력없는 글쟁이들의 비루함인지 구질구질한 역사의 허무함인지 알듯말듯 아리송송구리하다.


소설속 남한산성의 풍경이란 근본없는 말과 내용없는 글들이 서로 뒤썩이며 부풀어 오르고, 부질없는 명분과 이득없는 실리가 서로 뒤엉키며 끓어올라 과연 누가 만고의 충신이고 누가 현세의 역적인지 알 도리가 없는 그런 기막히고 한심한 꼬라지를 지탱하고 있으니, 소설 첫 장의 일러두기에 나오는 “이 책은 소설이며 오로지 소설로만 읽혀야 한다”는 작가의 근심어린 당부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읽는 독자의 입장에서 보자면 이 책은 사실이며 오로지 사실로만 읽혀야 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이유가 무엇인지 역시 알듯말듯 아리송송구리하다. 생각해 보자면 실로 참담한 심정이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김훈이 "남한산성"을 통해 말하고자 했던 것은?
    from 風林火山 : 승부사의 이야기 2007-11-05 02:36 
    남한산성 - 김훈 지음/학고재 2007년 10월 31일 읽은 책이다. 올해 내가 읽을 책목록으로 11월에 읽으려고 했던 책이었다. 재미가 있어서 빨리 읽게 되어 11월이 아닌 10월에 다 보게 되었다. 총평 김훈이라는 작가의 기존 저서에서 흐르는 공통적인 면을 생각한다면 다분히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작가는 매우 냉정한 어조로 상황을 그려나가고 있다. 소설이기에 작가의 상상력이 개입이 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읽었음에도 주전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