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아내야 할 백 살
지난 연말 여고동창 모임에 갔더니 제 옆의 한 친구가 이렇게 얘기했어요.
“얘, 우린 재수 없으면 백 살까지 산대.”
그러면서 한다는 말이, 지금부터 다시 남자를 만나 결혼을 해서 아이를 낳아 지금처럼 장성하기까지 키워내고도 세월이 남는다는 거죠.
모두들 이구동성으로 “결혼은 됐거든” “남자도 됐거든” 이야기들을 했어요.
부부의 속사정이야 부부만이 알 터이지만 친구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그만하면 남편들이 괜찮은 편이고 또 자기의 분야에서 일가를 이루고 있는 터인데도 이구동성으로 “남자는 됐고” 하는 겁니다.
저는요?
저도 우리 남편이 들으면 섭섭하겠지만 저도 그만 “됐고”입니다.
여자인지라 우리나라 정서상 결혼한 여자들은 일과 가정을 양립하여 끌어가기가 힘듭니다. 더구나 우리 남편은 잔손이 많이 가는 스타일이어서 불교식으로 말해 다시 태어난다면 혼자 살아서 일에 한 번 마음껏 올 인하여 살고 싶은 소망이 있지요.
얘기가 잠깐 옆길로 빠졌군요.
친구의 얘기를 듣고 몇 달이 흘렀는데도 늘 앞으로의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하나, 하는 것이 저의 화두입니다.
그저 일상의 삶을 열심히 살면 되겠지만, 그렇게 몇 십 년을 더 살아야 한다는 것은 너무 건조합니다.
나이를 먹어가는 것은 그리 나쁘지는 않습니다. 여유를 갖게 하고, 이해의 폭도 넓히고,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는 여건도 되게 하지요.
그런데 문제는 점점 더 열정이 없어진다는 데 있어요. 이게 요즘 저의 고민입니다. 맛난 음식도, 좋은 옷도, 좋은 구경도... 별로 관심이 없어요.
그저께 ‘찍사’의 자격으로 어느 모임에 갔었어요,
‘어르신 마을’이라는 노인복지시설에 가서 몇 장의 사진을 찍었습니다.
저보다 훨씬 나이가 많으신 분들이 한국무용을 배워 그 시설의 어르신들 앞에서 한 달에 두 번 공연을 하고 있었습니다. 또 지적 장애우들이 사물놀이를 배워서 봉사를 하고 있었습니다.
더운 여름 날, 아무런 대가도 바라지 않고 열심히 봉사하는 얼굴에는 제게 없는 것이 있었습니다. 바로 열정과 기쁨이었습니다.
돌아오는 길은 마음이 가볍기도 하고 또 한 편의 마음은 무겁기도 했습니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답은 얻었는데, 얻은 답대로 살기 위해서 피곤한 팔과 연약한 무릎을 일으켜야 하는 데...지금 너무 힘이 없다는 겁니다.
아, 삼계탕이라도 한 그릇 먹어야 할까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