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되고 싶은 남편
늙지도 젊지도 않은 나이에 아이들이 떠나고 우리 부부만 남은 집은 고즈넉합니다.
최인호는 ‘독거노인’이라는 표현을 썼지만, 사람을 많이 만나야 하는 남편의 직업상 우리 부부는 밖에서는 그리 적적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오래된 부부만 남은 집안은 어떤 때는 고여 있는 물 같다는 생각이 들 때도 있습니다.
이미 수십 번이나 읽은 소설책 같다고나 할까요?
그러나 그날이 그날 같은 일상이 바로 행복이라는 생각은 합니다.
식사 시간도 마찬가지입니다.
저는 ‘밥 하는 것’에 별로 취미가 없습니다. 그 시간에 간단히 먹고 책이나 읽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어요. 그러나 몇해 전, 무슨 일 때문인가 제 스스로 크게 반성을 하면서 취미는 없지만 최소한 최선을 다하기는 해야겠다는 결심을 한 적이 있어요.
어느 책을 읽으며 대충하는 식사준비는 가족에게 ‘영양’으로 가지 않겠구나. 그냥 허기만 면하게 하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었지요.
그래서 나름 한 끼에 한 가지 이상은 새로운 반찬을 올리려고 애를 쓰지요.
사실 두 사람만 있는 터라 그것도 쉬운 일은 아니에요.
제일 작은 냄비에 된장찌개를 끓여도 두세 번은 먹어야 하거든요.
아침 준비 마치면 저는 여러 가지 말로 남편을 부릅니다.
“여보, 밥.” “아저씨, 식사 나왔어요.” “영감, 빨리 오시구랴.”
혼자 개그콘서트를 하는 거지요.
그런데 오늘 아침은 ‘유쾌한 식탁’이었어요.
남편은 쑥국, 마늘쫑 무침, 풋마늘 초고추장무침‘ 등등을 좋아하지요.
그런데 저는 마늘은 고기 구워먹을 때 먹는 마늘 외엔 별로 안먹습니다.
사실 쑥국도 먹을 수 있게 된 것도 몇 년 되지 않아요.
봄이 벌써 저만치 왔는데 이런 봄향기를 식탁에서 맡을 수 없는 남편의 불만이 터져나왔어요.
기어이 공사다망한 아내에게 목소리를 한 톤 높여 한 마디 합니다.
“여보, 나는 봄엔 쑥이나 마늘을 먹고 싶어.”
좀 켕긴 아내는 미안한 마음에 역시 한 마디 던집니다.
“당신, 사람이 되고 싶구랴?”
*** 들에 나가 당장에 쑥을 캐왔습니다.
저는 쑥뿌리가 이렇게 긴 줄은 몰랐어요.
겨우내 생명을 유지하여 살아남은 작은 식물의 무한한 의지가 느껴집니다.
봄에 지천으로 올라오는 작은 식물들의 강인한 생명력을 보며 불평불만하지 않고 살아야겠다는 착한 생각을 해 봅니다.
남편은 아내가 끓인 쑥국을 먹고 드디어 ‘사람’이 되었답니다.
저녁식탁에 올렸지요.
근데 궁금해서 아내는 남편에게 또 한마디 합니다.
“여보, 사람이 되려면 생쑥을 먹어야 하는 거 아닌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