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사실 조금은 굉장하고 영원할 이야기
성석제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화는 지속된다. 세상이 두 쪽이 나도, 저녁을 먹은 뒤 여름밤의 산책과 카페에서의 나직한 이야기와 두런거림은 영원히 지속되어야 마땅하다."(184쪽)

-----

8월 초 본가에 다녀오면서 남아있던 성석제 작가님의 산문집을 마저 읽었다. 기차에서 반쯤 읽었는데, 막상 자취방에 가져왔더니 진도가 나가지 않아 이제서야 완독했다. ^^;; 전체적으로 지난번에 읽었던 또 다른 산문집 [말 못하는 사람]보다 별점 하나를 더 주고 싶을 만큼 마음에 든다.



이번 책은 총 4부로 이루어져 있다.


1부 소설 쓰고 있다

- 작가님이 문학에 대한 역사를 살짝 엿볼 수 있는 이야기들

2부 나라는 인간의 천성

- 음식 이야기가 많은데, 가장 마음에 들었던 챕터이다. 성석제의 맛있는 문장들은 읽다보면 허기가 진다.

3부 실례를 무릅쓰고

-가장 글이 많은 챕터지만 술술 넘어간다. 사회 현상들에 대한 단상 모음.

4부 여행 뒤에 남는 것들

-제목 그대로 여행과 관련하여 쓰신 글들이다. 마지막 글인 "여행이 끝나갈 때"가 이 책에 실린 산문 중에서 가장 긴 글인 듯 싶다."되로 주고 말로 받는 여행"(195쪽)이 가장 감동적이었다. 그렇지만 개인적으로 여행을 그렇게 좋아하는 편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밍숭맹숭하게 읽었다.



2부 나라는 인간의 천성  "홍익인간의 음식"(81쪽)은 발효 음식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 중에서 지역 음식인 '골곰짠지'가 나온다.


무말랭이, 말린 배추 속잎, 무청에 고춧가루, 멸치젓, 조청, 마늘, 생강 등을 넣고 담그는 토속 장아찌 김치. 오도독 씹는 맛과 매우면서도 달큰한 맛이 나 가을 김장철에 별미로 담근다.(두산백과)


검색해보니 김치 양념이 더해진 무말랭이 김치 같은 모습이었다. 간단히 말하면 "무말랭이와 달리 발효가 된 음식이다.(82쪽)""무말랭이에 비해 훨씬 더 영양이 풍부하고 맛이 깊을 수밖에 없는데 씹을 때 나는 꼬드득꼬드득 하는 소리는 머리를 부드럽게 두드리며 나를 낳고 키워준 은혜로운 사람들을 내 머릿속 장광에서 호출했다.(82쪽)"는 표현에 언젠가 만들어 먹어봐야지 하고 검색해보니 정말 손이 많이 가는 음식이라 .... 포기ㅜㅜ


표제작인 [근데, 사실, 조금은, 굉장하고, 영원할 이야기](182쪽)는 사람과 사람이 서로 대화를 나눈 다는 것의 귀중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지금 블로그에 쓰고 있는 이 글도 '근데, 사실, 조금은...'처럼 별 의미 없는 말일지라도 나름의 의미로 남았으면 좋겠다고 잠깐 생각해본다.

대화는 지속된다. 세상이 두 쪽이 나도, 저녁을 먹은 뒤 여름밤의 산책과 카페에서의 나직한 이야기와 두런거림은 영원히 지속되어야 마땅하다. - P184

스님은 저장창고가 아닌 장광 안의 항아리에서 지역 음식인 ‘골곰짠지‘를 한 바가지 떠가지고 와서 먹어보라고 권했다. 골곰짠지는 무말랭이와 달리 발효가 된 음식이다. 무를 썰고 널어서 말리되 무말랭이보다는 훨씬 수분이 많이 남은 상태에서 고춧가루와 조청, 고춧잎 같은 양념을 더해 숨쉬는 옹기에서 김치처럼 발효시킨다. 무말랭이에 비해 훨씬 더 영양이 풍부하고 맛이 깊을 수밖에 없는데 씹을 때 나는 꼬드득꼬드득 하는 소리는 머리를 부드럽게 두드리며 나를 낳고 키워준 은혜로운 사람들을 내 머릿속 장광에서 호출했다. - P82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2-08-23 07:29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오랫만에 성석제 작가님. ^^ 저는 소설은 몇권봤는데 에세이는 한번도 못봤네요.
골곰짠지같은 음식은 역시 어디서 얻어먹어야 캬~~~하죠. 내손으로 저걸하면 으악!!! 그니까 성석제작가도 얻어먹은거잖아요. ㅎㅎ

파이버 2022-08-23 16:22   좋아요 1 | URL
바람돌이님 말씀이 진리이네요! 작가님도 얻어드셨...ㅎㅎㅎ 옹기도 없고 만약 한다고 해도 성공하리란 보장도 없으니 언젠가를 기약해야겠습니다.

희선 2022-08-24 00:38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무말랭이 김치 같은 거 보시고 만드는 방법 찾아보셨군요 파이버 님은 가끔 음식 해드시는가 봅니다 가끔이 아니고 자주... 골곰짠지라는 거 처음 알았습니다


희선

파이버 2022-08-27 14:12   좋아요 1 | URL
저도 이 책을 보고 골곰짠지라는 음식을 처음 알았습니다ㅎㅎ 요즘 날씨가 더워서 음식을 잘 해먹지는 않는데 선선할 때는 가끔 해서 먹습니다
희선님 즐거운 주말 되세요~!

scott 2022-08-24 23:4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 ! 이 책
문동 카페에서 연재 되었던 글이 출간 되었네요
연재 초기에 작가님이 직접 답글도 달아 주셨는뎅!
파이버님 본가에서 맛나는 거 많이 영양 보충 많이 하셨을 것 같습니다!ㅎㅎ

무말랭이! 반찬도 성석제 작가님은 맛깔 스럽게 ^^먹고 싶게 만드네요 ^^

파이버 2022-08-27 15:04   좋아요 1 | URL
앗 문동카페에서 연재 되던 글이었군요! 문동카페 가입만 해두고 백년째 안 들어가고 있습니다ㅎㅎ 한번 기웃거려봐야겠네요!

서니데이 2022-08-26 03:2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희집에도 성석제 작가님 소설책이 있어요. 몇 권 있을거예요. 이 책은 아니지만.
무말랭이는 아는데, 골곰짠지는 처음 들어봅니다. 맛있을까 궁금하네요.^^
파이버님, 기분 좋은 금요일 되세요.^^

파이버 2022-08-27 15:05   좋아요 2 | URL
저도 무말랭이만 알고 있어서인지 더욱 궁금해지는 맛이었습니다. 예상이 갈 듯 말 듯 해요ㅎㅎ
서니데이님 날씨가 많이 선선해졌습니다
즐거운 토요일 되세요~

새파랑 2022-08-26 17:03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일단 글로 쓰면 의미가 생기는거 같아요 ㅋ 저도 대화하는걸 좋아하는데 대화는 영원히 지속되어야 합니다~!!

파이버 2022-08-27 15:08   좋아요 2 | URL
이렇게 글로 남기면 북플 친구님들도 뵙고 미래의 자신도 읽을 수 있으니 의미가 남겠죠..? 시원한 카페에서는 몇 시간이고 영원히 대화를 지속할 수 있습니다ㅎㅎ

박균호 2022-08-29 13:0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제가 성석제 작가와 동향인데요. 무말랭이를 ‘골곤짠지‘라고 불렀네요. ㅎㅎㅎ

stella.K 2022-08-29 15:09   좋아요 2 | URL
앗, 놀랐습니다. 전 성 작가님과 동창이시라는 줄 알고…
그럼 동갑…? 했었다는. 죄송함다. 🤭

파이버 2022-08-30 00:53   좋아요 1 | URL
무말랭이든 골곰짠지든 만들어주신 분의 정성이 듬뿍 들어갔으니 모두 맛있겠어요ㅎㅎ 무말랭이도 좋아하는 음식이지만 항상 사먹는 음식 중 하나입니다^^;;

기억의집 2022-09-20 00:5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의 엄마가 저렇게 골곤짠지 만드시곤 하는데, 일년이 넘어도 오도독 거리더라고요. 전 엄마한테 얻어와서 먹다가 조금 남은 거 냉장고에 굴러 다니는 거 버릴려고 뚜껑 열었다가 그대로인 거 보고 진짜 놀랬던 기억이 납니다…

파이버 2022-09-20 00:56   좋아요 1 | URL
안녕하세요 기억의집님^^
어머님께서 오랜시간 정성을 쏟으신 만큼 맛도 오래 유지되었나 봅니다. 일년이 넘도록 오도독 거린다니 신기하네요0_0!
이제 날이 제법 쌀쌀해졌습니다. 환절기 건강 유의하시고 편안한 밤 되세요~

기억의집 2022-09-20 00:57   좋아요 2 | URL
네, 파이버님도 굿밤 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