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스킷 - 제1회 위즈덤하우스 판타지문학상 청소년 부문 대상 수상작 ㅣ 텍스트T 7
김선미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9월
평점 :
[My Review MCMLXVI / 위즈덤하우스 39번째 리뷰] 자신이 가진 재능을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닌 '남을 위해서' 써본 적이 있는가? 우리는 선진국 중에서도 '남을 돕는데 매우 인색한 국가'로 선정되는 불명예를 안기도 했다. 하위권도 아닌 밑에서 두 번째였다. 하지만 우리는 이런 불명예에 그리 수긍하는 편이 아니다. 왜냐면 우리 스스로 '동방예의지국'이라는 타이틀이 가지고 있는 명예로움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외국인 손님이 오면 매우 친절하게 대해서 전세계 여행객들에게 칭찬을 무지 많이 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런 조사결과를 불신하기까지 한다. 그런데 사실이다. 우리는 상대방에게 친절을 베풀기는 '인색'하면서 베품을 받는 것에는 '익숙'하다 못해 당연한 것인데도 제대로 대접받지 못했다고 화를 내곤 한다. 심지어 사소한 친절에 '감사 인사'를 할 줄도 모르고 친절한 분들에게 '갑질'을 하고, '꼴값'을 떨면서 제 스스로 품위 없음을 증빙이라도 하듯 남발하기 일쑤다.
아닌 것 같다고? 그럼 당신은 '심폐소생술'에 대해서 배운 적이 있는가? 안 배운 분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남자라면 '군대'에서나 '예비군/민방위 훈련'시에도 늘상 배우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웬만한 직장에서는 2년에 한 번쯤 '심폐소생술 교육'을 의무적으로 받도록 하고 있기에 모르는 분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자, 그러면 묻겠다. 지금 당신 앞에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환자가 발생했다. 적극적으로 나서서 환자의 생명을 구할 것인가? 이렇게 물으면 십중팔구 '하지 않겠다'고 대답할 것이다. 위의 조사 결과가 바로 '이것'이었기 때문이다. 당신의 가족이나 지인이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경우에는 당연히 해야 하고, 지나가는 사람일지라도 붙잡고서 도와달라고, 살려달라고 애걸복걸할 것이다. 그런데도 '심폐소생술'을 적극적으로 나서서 하겠다는 한국인은 별로 없었단다. 부끄러운 일이다.
왜 그랬을까? 십중팔구는 '잘 할 줄 몰라서'라고 대답했단다. 몇몇 분은 '괜히 도와줬다가 잘못되었을 경우 덤터기 쓸까봐'라고 대답했고, 나머지는 '귀찮아서'라는 답변도 나왔단다. 물론 다른 사람의 생명을 구하는 것이 '의무사항'은 아니기에 그럴 수 있다. 사람 생명 구하는 일보다 '바쁜 일'이 정말 대한민국이니까 충분히 그럴 수 있다. 괜시리 남을 돕다가 병원에 들락거리고, 경찰서에 불려다니고, 귀찮은 일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 굳이 귀한 시간을 내서 '남의 생명을 구한다'는 위중한 일에 나서지 않는 것은 아주 현명한 일이기도 할 것이다. 그리고 '똑같은 이유'로 당신도 심폐소생술을 받지 못해서 위급한 상황에서 되살아날 수 있는 기회를 영영 잃어버리게 될 것이다. 119구급대가 도착할 때까지 '단 5분동안'의 응급조치만 도와주어도 충분히 살아날 수 있는 생명인데도 말이다.
소설 <비스킷>은 청각장애를 앓고 있는 한 소년의 이야기다. '소리'에 대단히 민감하게 반응하기에 남들이 들을 수도 없는 아주 작은 소리도 이 소년의 귀에서는 천둥이 치는 것처럼 크게 들리는 장애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볼펜 딸깍거리는 소리를 낸 학생의 '볼펜'을 몰래 빌려다가(?) 부셔서 쓰레기통에 던져버렸다. 소심한 복수를 저지른 것이다. 먼저 그 녀석이 나의 '예민한 청각'을 괴롭혔기에 그에 상응하는 벌을 준 것 뿐이다. 다시 말해 '정당방위'란 말이다. 그런데 일이 꼬여서 그 싸가지가 나를 보더니 "내 볼펜 훔쳐간 게, 너라면서? 죽고 싶냐!"라고 말하며 싸움을 걸기에 그 뒤에 벌어진 일들이 그리 흘러흘러 '보다 큰 사건'으로 벌어지게 된 것이다. 그게 '주거침입죄'와 '공무원사칭죄'에 해당한다는 것은 알지만, 그보다 훨씬 더 중요한 일을 처리(?)해야했기 때문에 불가피한 상황이었다고 말하는 중이다. 이런 말을 하고 있는 곳이 '정신병원'이라는 점도 충분히 이상할 거라고 짐작은 하지만, 그리 심각한 상황은 아니었다는 점, 지극히 '당연한 일'이었다는 점을 믿어주면 좋겠다. 굳이 또 믿지 못할 일도 아니라는 점만 인지하고 <비스킷>을 읽어도 좋을 것이다.
아참, 그리고 하나 더 알고 있어야 할 점이 있다. 바로 '비스킷'에 대해서다. '세상에는 자신을 지키는 힘을 잃어 눈에 잘 보이지 않게 된 사람들이 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존재감이 사라지며 모두에게서 소외된 사람', 이런 사람들을 '비스킷'이라고 부른단다. 왜냐면 분명 사람이지만 비스킷처럼 쉽게 부서지는 성향을 지녔기 때문이다. 심지어 '비스킷'은 눈에 잘 띄지 않는 성향이 있다. 그래서 보통 사람들의 눈에는 '비스킷'이 되어 버린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단다. 그들은 그렇게 '소외'되다가 끝내는 사라져버리고 만다. '존재감'이 사라져버려서 아무도 알아볼 수 없는 존재가 되어서,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상황속에서 서서히 생명마저 희미해져서 그대로 사라지고 만다. 이런 비스킷은 누구나 될 수 있다. 이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이 소설의 주인공 소년은 그들이 내는 아주 작은 '소리'를 감지해 낼 수 있다. 미약한 숨소리, 힘없는 발소리, 가볍게 스치는 옷감의 소리를 듣고 그들이 주변에 있다는 것을 알고, 그 소리의 '주인공'을 인식하는 순간, 비스킷은 모습을 드러내고, 다시 보통 사람들의 눈에도 보이게 된다. '소외감'이 사라지면서 '존재감'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누군가 자신을 알아보려 하고, 그걸 의식하는 순간, 비스킷들의 미약한 존재감이 증폭되기 때문이다. 아주 간단하지 않은가? 소외시키지 않고, 알아주려고 의식해주기만 해도, '소외'는 사라지고 '존재'는 드러날 수 있으니까 말이다. 그렇다. 이 책은 바로 우리 주변에서 함께 살고 있으나 '소외' 당하는 사람들에게 손을 내미는 마음 따뜻한 이야기다. '정신질환자'가 일으키는 크고 작은 소동이 아니라 말이다.
대한민국에서 '소외 문제'는 대단히 심각해졌다. 왕따로 인한 학폭이 심심찮게 뉴스를 장식하고 있고, 부모 자격도 없는 이들이 저지르는 '아동학대'로 인한 사건도 자주 일어나고, 먹고 살기 바쁜 현실속에서 '무한경쟁'만 강조하고, 이런 경쟁에서 뒤쳐지는 이들은 아무런 관심도 받지 못해, 그대로 '소외자'가 되고 마는 비정하고 무정한 사회가 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딴에는 이해가 된다. 바쁘게 살아도 '나 하나' 먹고 살기 힘든 판국에 누가 누굴 돕고 사는 일이 쉬운 일이겠는가. 그럼에도 서로 돕고 살아야 한다는 것은 어릴 적 유치원때부터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돕는 것'도 하루이틀이지 누가 누구를 평생을 도와줄 수는 없는 일이잖은가 말이다. 맞는 말이다.
그런데 말이다. 진짜 '돕고 싶은 마음'은 있기는 한 걸까? 아무런 대가도 바라지 않고서 말이다. 그저 남을 돕는 일이 좋아서 자신이 가진 '재능 한 스푼'을 나눠줬을 뿐인데, 그 도움을 받고 너무나 고마워하는 사람들의 웃는 모습을 보는 일이 정말 보람차지 않겠는가? 그런데 그런 웃음을 당신은 몇 번이나 보았나? '특별한 재능'이 없어서 남을 도울 정도는 아니라고? 아무도 당신에게 '아이언맨'이 되어 달라고 한 적도 없다. 그저 낯선 길에서 길을 물었을 뿐이고, 무거운 물건을 들고 가고 있을 뿐이다. 이런 분들에게 당신은 '어떤 도움'을 줄 수 있겠는가? 뭐, 굳이 도와달라고 하지 않으니, 먼저 나서서 도와주지 않는 것은 어쩔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도움 요청'을 하듯 당신에게 길을 묻고, 무거운 물건을 저쪽까지만 옮겨 달라고 한다면 어쩌겠는가? 도울 수 있을 것 같지 않은가?
이 책 <비스킷>의 소년 주인공이 그랬다. 예민한 청각 때문에 '거의 사라져가는 소외자'들의 목소리가 들렸고, 아무에게도 보이지 않는 '비스킷'들의 존재를 드러나게끔 '관심'을 줄 수 있는 유일한 능력자였기에, 소년은 '비스킷'을 돕기 위해 범죄(?)도 마다하지 않았다. 아무도 믿지 않을 '초자연적인 현상'처럼 보이지만, 엄연히 우리 사회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이기도 하다. 이제 누가 누구를 어떤 이유에서도 '소외'시키지 말자. 아니 '소외' 당하지 않도록 조금만 세심히 관찰하고 관심을 가져 주자. 그 조그만 관심만으로도 우리 사회는 한층 더 밝아지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