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괴의 아이를 돌봐드립니다 7 요괴의 아이를 돌봐드립니다 7
히로시마 레이코 지음, 미노루 그림, 김지영 옮김 / 넥서스Friends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괴의 아이를 돌봐드립니다 7>  히로시마 레이코 / 김지영 / 넥서스Friends (2021)

[My Review MCMXV / 넥서스Friends 7번째 리뷰] 7권의 이야기는 '이야기속에 또 다른 이야기'를 품고 있는 대서사의 시작을 알리고 있다. 먼 옛날 센야가 '바쿠란'이라고 불리고 쓰쿠요가 봉행소의 주인이 되기 훨씬 전에 있었던 이야기로 거슬러 올라가야만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쓰쿠요와 혼인할 뻔했던 '고주'라는 요괴가 있었다는 새로운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야기는 점점 깊어만 간다. 하지만 어쩌면 '그녀의 복수'가 이루어져야 이 이야기는 끝을 맺을 수 있지는 않을까? 물론 '자신만을 사랑해주길 바라서' 쓰쿠요의 부모님도 살해한 고주와 쓰쿠요와의 사랑이 완성되길 기대할 수도 없겠지만 말이다. 느닺없이 소설의 내용을 스포하는 까닭이 무엇인지 몹시 궁금하겠지만, 이번 이야기에서는 그건 전혀 중요하지 않다.

이야기 속에 '또 다른 이야기'를 하는 방식으로 쓰인 것을 '액자식 구성'이라고 한다. 액자 속에는 '그림'이 펼쳐지고, 액자 밖에서는 '감상자'의 이야기가 펼쳐지는 방식인데, 잘만 꾸며 놓으면 '두 개의 이야기'가 하나의 이야기로 완성이 되어 굉장히 몰입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내게 된다. 이를 테면, 독자가 주목하는 'A'라는 이야기를 읽다가 갑자기 'B'라는 또 다른 이야기가 펼쳐지면서 A'의 이야기 스케일을 더욱 크게 확장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익숙히 알고 있는 '마블 시네마 유니버스(MCU)'의 세계관이 바로 이런 스타일로 이야기를 확장시켜 왔고, 지난 20여 년간 우리는 '마블 영화'를 즐겨 왔던 것이다. <아이언맨>으로 시작해서 <헐크>, <토르>, <캡틴아메리카>를 이야기하더니 느닺없이 <어벤져스>로 모든 캐릭터가 총출동하여 등장하여 영화관람자들을 열광하게 만든 것처럼 말이다. 그 뒤에도 <앤트맨>, <블랙팬서>, <닥터스트레인지>를 등장시켜 놓고 <어벤져스 시리즈>를 흥행시키더니 빌런 '타노스'가 등장하면서 <엔드게임>으로 대서사의 마침표를 찍는 거창한 스토리를 전개시켰다.

그럼 <요괴의 아이를 돌봐드립니다>도 이런 구성이 가능할까? 물론 주인공은 '요괴 돌보미'가 된 야스케이고, 주요 배경은 '다이코 공동주택'에서 벌어지는 육아전쟁(?)이다. 그런데 매번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주인공 '야스케'만 등장하지 않는다. 야스케를 둘러싼 '서브 캐릭터'의 이야기가 펼쳐지면서, 다시 원래의 '야스케의 육아전쟁'으로 이야기의 초점이 되돌아오길 반복해왔었다. 그러다 7권에 이르러서는 '봉행소'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사건들에 초점을 맞추다가 급기야 '쓰쿠요가 결혼할 뻔 했었던 사연'으로 독자들의 이목을 끌어당겼다. 그런데 그 결혼당사자가 그리 달가워하는 '여성'도 아니었고, 심지어 결혼을 거절당했다는 이유로 '쓰쿠요의 부모님'을 살해한 범죄자이기도 했단다. 그래서 그녀에게 벌을 주기 위해 '봉행소의 얼음감옥'에 가둬두었는데, 이번에 봉행소에서 벌어졌던 '일련의 사건들' 덕분에 탈옥할 수 있었고, 자신의 사랑을 거부하고 감옥에 잡아넣은 것에 대한 복수로 '쓰쿠요가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이'를 죽여버리겠다고 선언까지 해버렸다. 그런데 그 복수의 대상자가 의외로 '요괴돌보미, 야스케'로 지목된 상황이다. 왜지? 야스케는 '쓰쿠요'가 가장 사랑하는 이도 아니고, 소중하게 여길 리 만무한 '인간'에 불과한데 말이다. 그런데 바로 이런 '의외의 대상 지목'이 독자의 관점에서는 신선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왜냐면 '그 까닭'이 궁금하기 때문이다. 엉뚱하면 엉뚱할수록 궁금증이 더 커지는 것을 감안한 '작가의 센스'라고밖에 표현할 도리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이런 '의외의 대상 선정 방식'까지는 흥미롭게 진행되는데 반해, '그 감춰진 사연'이 다 밝혀지고나면 그리 깊이 몰입을 했었어야 했나 싶을 정도로 '매우 간결하게' 일단락이 되는 것이 매우 아쉽다. 일단 얼음감옥에서 탈옥한 요괴 '고주'의 복수는 8권으로 이어질 것이다. 하지만 그녀가 복수를 하게 이른 '원인'이 그리 심각하게 화를 낼 일인가 싶어서 아쉽다. 이렇게 싱거운 '복수의 이유'를 근거로 삼은 까닭은 애초에 작가가 '성인소설'로 구상했던 이 책이 출판사의 의견을 반영해서 '어린이소설'로 둔갑을 하면서 많이 싱거워진 것 같다. 만약 애초의 구상대로 '성인용'으로 만들어졌다면 더욱더 잔혹하고 섹시한 이야기로 독자들을 사로잡았을 것 같아서 더욱 아쉬운 대목이다. 어차피 '피가 철철 넘치는 묘사'로 가득한 소설인데, 굳이 '어린이용'으로 컨셉을 잡은 까닭이 뭔지 몹시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