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니샘의 행복교실 만들기 - 개정판
정유진 지음 / 에듀니티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통찰
<교육이해>
교육철학이 탄탄해야 한다. 나의 교육철학은? (나의 이야기에 따로 정리)
<자기이해>
*어떤 교사가 될 것인가? 이상적인 교사란?
- 너무 이상적인 교사가 되려고 하지마라. 인간적인 교사. 나에게 친한 친구는 어떤 모습인가?
- 자신의 감정도 솔직히 표현하라.
- 나는 어떤 유형의 교사인가? (권위자, 민주적권위자, 방관자, 친구지향 하인) 53쪽
- NLP(종합응용심리학) : 환경, 행동, 능력, 가치, 정체성, 영성
*콜버그 도덕성이론 : 1단계(벌) 2단계(상) 3단계(선생님이 좋아해서) 4단계(사회계약,규칙)5단계(배려)6단계(양심)
*애니어그램 : 더 공부???   / 교사리더쉽상담훈련 -> 나와 아이들을 파악하는 방법?  (아이들을 판단하는 잣대가 아닌 긍정적 에너지를 찾아 격려하고 갖고 있는 문제에 도움을 줌)

<아동이해>
*GROW모델 활용 - 학기초
*부모도 교사와 똑같은 유형을 갖고 있음. 감정은 수용하고 행동은 이끌어줘라!  

2. 운영전략
<학급>
-학기초 첫만남: 색연필, 땅콩, 밴드 
-목표세우기 -> 학급규칙 만들기(교사원칙) ->
-환경꾸미기 : 교실전면(학습 및 생활 관련, 너무 빽빽히..지양) + 학급문고(집, 학생기증, 개인구입 / 100권이상 꼭 구비) + 학습자료 + 놀이도구(클리코)
-학기초 첫만남 : 학부모편지+우리아이 이야기 / 첫만남 이야기, 선배편지, 선생님소개, 인사 나누기(집중신호), 친해지기(놀이,사진찍기), 내 이야기하기 (정성껏 준비하기-여러번 써먹도록)
-교사의 태도: 실수인정, 고마워미안해, 같이 놀기
-성장하는 공동체: 학급문고, 학급규칙만들기, 월요일 아침 생활나눔, 차마시기, 등하교 포옹하기 등..
<교실놀이>
*틈새놀이: 가라사대, 눈치게임, 당신의 이웃을 사랑하십니까? (과일가게놀이)
*즐거운 놀이: 대마왕놀이(바퀴벌레,쥐,고양이,개,호랑이,인간,천사,대천사), 구미호놀이(드라큘라놀이)
<학급GROW코칭>
*우리가 원하는 우리 반의 모습 작성(167쪽 그림)  -> 문제점(무책임, 학급문화, 이기적태도, 거친말, 심한 장난, 폭력 등) -> 생활절차와 학급규칙 만들기(안전, 존중, 책임, 협동) 
<학급규칙만들기>
*울타리: 위험한 행동, 욕따돌림, 무분별한 매체사용, 수업참여

3. 인생전략
<마음과 몸>
-마음이해하기: 성숙한 인격 6단계(콜버그)
-소중한 약속. 성품9: 사랑-존중-감사, 지혜-협동-성찰, 용기-책임-나눔 / 시각화
-요가와 명상, EFT, 의사소통
<의사소통>
-잘듣는법: 기다려주고, 바라보면서 듣기, 반응하며 적극적으로 듣기, 공감하며 듣기, 생각하면서 듣기
-내 인생의 이야기
-긍정감정표현(나-전달법):  나는 발표해서 고마워요. 왜냐하면 아무도 발표안하고 있어 불안했거든. (나에게 미친영향)
-욕구표현: 나는 여러분이 교실이나 복도에서 뛰지 않기를 바래요. 왜냐하면 뛰다가 여러분이 다칠까 걱정되기 때문이에요.   / 네가 지각하지 않았으면 좋겠어. X -> 네가 등교시간을 지켰으면 좋겠어. O

<문제해결> - 민주적 교사: 친밀하면서도 엄격함 / 1년동안 아이들을 변화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 경계세우기
*안전/존중/책임 >> 내가 힘들어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아이들과의 다툼, 왕따 및 따돌림(친구들과의 관계), 과제 및 책임을 다하지 못할때
*문제확인방법: 문제 소유? 판단 대신 행동찾기(길동이는 버릇이 없다-길동이가 인사하지 않고 지나갔다), 감정읽기(표정이 어둡고 눈을 마주치지 않는다-마음이 우울하다), 문제정도확인, 문제원인찾기

-고자질: '선생님에게 말하기 전에 너희 스스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보세요.' - 그런후 안될 경우 도움을 요청. 
  -> 처벌이 아니라 존중과 책임감을 키우며 함께 성장하고 함께 평화롭고 함께 행복해지는 것

*감정문제해결:자기조절기술
- 심호흡, 하칼라우(화가 날때 시야 넓히기), EFT
- 바라보며 듣기, 반응하며 듣기, 공감하며 듣기
- 분노해결 의사소통 양식 / 사과하기 단계

*교사 문제해결능력
 >> 학생의 책임문제
- 1단계: 문제행동 신호보내기 (바람직한 행동으로 상기시키기)
- 2단계: 정해진 규칙 따르기 (지혜의 시간, 모래시계 등)
- 3단계: 행동계획서 쓰기
- 4단계: 강한 개입 (학부모 상담 등)
 >> 학생의 감정문제
- 1단계: 자기조절 - 분노로 인한 부정적 행동 멈추기 (엄격-단호) - 감정수용 -> 심호흡 -> 지혜의 시간, 글쓰기(무엇이 그렇게 감정을 상하게 했는지 쓰기, 지혜롭게 해결하는 방법은?)
- 2단계: 적극적인 의사소통 - 바라보고 반응하며 공감하기 -> 대안 찾고 평가하기 -> 추후 지도하기
- 3단계: 감정정화 (EFT, 치유적 글쓰기, 만다라 등)
 >> 학생 스스로 분노를 다룰 수 있도록 돕기
- 교사가 본보기, 아이가 보다 효과적인 표현양식을 찾도록 지도, 교사 스스로 감정다루기, 힘겨루기 빠지지 말기  -> 적극적 의사소통: 공감하며 경청하기
 >> 싸움 해결하기: 사진참고 (글쓰기)

*교사 문제해결능력 2 - 교사의 감정문제 (I-메시지)  교사가 감정을 잘 다뤄야 함!!!
>>감정조절
- 화를 조절해라 (아이와 함꼐 밖으로 데리고 나가 산책, EFT, 유머 등...)
- 화낸 것에 대해 사과
- EFT로 감정 해소하기
>> 문제행동 이유 이해
- 육체, 감정, 제한적신념과 낮은 자존감, 불안정한 인간관계, 마음의 상처
>> 효과적으로 훈육하기
- 정중한 요청->직면적 자기표현->단호한 지시->논리적 결과 적용 
예1> 청소시간 장난- 너 왜 청소안하고 있어. 빨리 안해?  -> 지금 청소하는 시간인데, 책임을 다해주겠니?
예2> 행감이바 - 행동(미성이가 수업시간에 장난을 치니까) 감정(내 마음이 불편하다) 이유(왜냐하면 수업시간에 계속 신경이 쓰이거든) 바람(조용히 집중해줬으면 좋겠구나.)

용기를 내서 감정을 수용하고(친구형) 행동에서의 한계를 명확하게 한 후(전제형), 한계 내에서 적절한 대안을 찾아 실천하도록 한다.(민주형) 실천의 결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학급문제해결
- 규칙, 감정문제 해결 - 선생님(상담,변화계획서) - 학급평화회의 - 학부모 상담 - 학폭전담기구 - 학폭자치위원회
-학급회의: 칭찬감사격려-일주일 돌아보며 좋았던 이유- 문제점나누기- 강화, 문제해결-선생님이야기-소감
-학급평화회의: (잘잘못 판단, 비난하지 않기, 문제 때문에 어떤 감정을 느끼고 어떤 욕구를 갖는지 공감해 대안을 찾는 것임) - 문제행동 이야기 감정이야기 - 공감 - 가해학생 감정 이야기 - 공감 - (해결방법 찾기: 욕구확인, 들어주기, 중재, 선택, 실천과 격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