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어떻게 볼까? - 아이의 눈을 찾아서
서근원 지음 / 교육과학사 / 2013년 12월
평점 :
품절


 질적연구의 이해와 기존 수업에 대한 문제점 비판, 그리고 수업에 대한 관점의 변화에 도움을 준 책이다. 아이의 눈으로 수업보는 구체적인 방법을 기대했지만 명확한 답을 얻지는 못했다. 뒤에 나온 양식 역시 어떠한 틀에 가둬 수업을 본다는 한계에 부딪치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 물론 이러한 문화인류학적 학교문화, 수업문화 연구를 하는 연구자에게는 의미있는 책이다. 
 수업을 실천하는 교사들에게는 책에서 나온 방법들이 조금 어려울 수 있을 것 같다. 1분단위로 학생들의 말과 행동, 활용한 자료나 매체들 등을 자세히 관찰해 적는 것을 수 있을까? 질적연구는 의미가 있지만 현장에서는 힘들지 않을까? 아이들의 눈으로 바라본다고 하지만 결국 교사의 눈으로 재해석하지는 않는지, 너무 분석적으로 수업을 바라보지는 않는지 돌아보게 된다. 깊이 있는 이해가 부족한 탓이기도 하다.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알기가 쉬운가? 그건 정말 쉽지 않은 문제다. 인지주의를 연구하는 학자들도 풀어야할 무궁무진한 숙제일 것이다. 오히려 이렇게 하나하나 아이들의 말과 행동을 분석하기 보다 자연스럽게 수업자와 질문하며 수업의 의도와 어려운 점 등을 함께 나누며 수업을 성찰하는 과정이 도움이 될 듯 싶다. 아이들은 자신이 배운 내용, 어려운 점 등을 공책에 한 두줄 정도 정리하는 시간을 줘 배운 내용을 확인하는 정도로 가며 아이의 눈을 확인하는 작업이 오히려 바람직한 방향이 아닐까 싶다. 

*내가 꿈꾸는 수업은?

1. 체크리스트 수업 개선 한계

2. 질적연구: 현상을 맥락과 함께 파악, 낯선 현상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서 현상을 바라보는 자신의 관점을 새롭게 구성하고, 그 관점에 의해서 주변의 현상을 다시 바라보고 다시 살아간다.

*질적 기법에 의한 수업 보기 (관찰자 관점) : 자료 수집, 분석, 해석, 보고 등 문화인류학적 기법만 가져와서 수업을 분석함
- 과학적 관찰과 분석 (일화기록 등), 수업비평, 체크리스트로 회귀(배움의 공동체)

<질적 방법에 의한 수업 보기> 존재론, 인식론
- 자신의 관점, 미리 설정한 기준에 의해서 판단하고 평가하는 일이 아님.
- 판단하지 않고 이해하는 일 (교육인류학, 문화인류학)

*아이의 눈으로 수업보기 절차
  1) 자기 문제의식 확인: 관찰자가 좋은 수업의 기준을 갖는 것이 아닌 질문을 갖도록 함
  2) 수업의 맥락과 상황파악: 교사의 의도와 계획, 학교 환경들(지역사회, 학교, 학급, 학생 등), 이전 차시 학습 등
  3) 벼리 선정과 선 이해 파악: 벼리(수업 중심 학생)
  4) 수업 관찰 기록: 교사, 벼리, 그외학생 언행, 수업과정 활동, 무엇을 언제 알게되었는지, 노트기록 등
  5) 상황 구분, 경험 추론
  6) 수업 구조 분석: 학습자가 어떤 경험, 의미?
  7) 주제 대화: 수업의미, 수업원인, 자신에게 시사하는 바, 개선방안 모색, 질문 등
  8) 대화 결과 교환
  9) 보고서 작성과 또 다른 대화 시도 (수업 전 관찰자 의문, 배경, 그것이 수업이해 개선하는데 어떤 관련 / 수업보기 과정, 상황, 교사 및 벼리 중심 수업 과정 기술, 분석결과 정리, 수업대화내용 정리, 더 생각해야할 점 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