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공화국 생물법정 1 자모사이언스 21
정완상 지음 / 자음과모음 / 200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공화국 세계사 법정'은 많이 봐왔지만 과연 '과학공화국 생물 법정'에서는 어떤 이야기가 전해질지 궁금했다. 1권 생물의 기초 편에서는 총 10건의 사건이 나온다. 인물 대 인물의 대결이 아니라 여러가지 사건- 우주와 생물, 곤충, 식물, 호흡 등에 대한 사건들이 나오는 것이다.

 

'생활 속에서 배우는 기상천외한 과학 수업'이라는 말이 어울리듯 흥미로운 사건들을 둘러싸고 법정 공방이 이어지는 책이다. 이 사건들이라는 것이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라는 궁금증으로 한번쯤 생각해 보았던 일들에 관한 내용이라는 점에서 책을 읽는 동안 지루하지 않을 것이다.

 

생물짱 판사가 생치 변호사와 비오 변호사의 변론을 듣고 판결을 내리게 될텐데 그 이름이 참 재미있다. 역사공화국 세계사 법정 역시도 유치한듯 하지만 각 변호사의 모습을 그대로 반영하는 그런면에서 볼때 작명에서도 센스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곤충에 관한 사건을 살펴보면 과학공화국의 북서부의 로즈 마을이 있었는데 세계에서 가장 넓은 장미농원으로 인해서 수많은 사람들이 로즈 마을을 찾게 되고 이로 인해 로즈 마을은 장미를 팔아서 큰 소득을 올리고 있었다. 그리고 로즈 마을의 장미농원 옆에 수천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과학공화국 최대의 고시원인 시빌 고시원이 있었는데 좋은 입지 조건으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이 찾게 된다.

 

시빌 고시원측은 방마다 대형유리창을 설치해서 자연의 바람을 고시원생들이 느끼게 했고, 그 창분으로 장미농원의 수많은 벌들이 들어와 고시원생들의 공부를 방해하고 결국 그들이 떠나려고 하자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시원 주인인 김충악은 헬기를 이용해서 약으로 벌을 죽이게 된다. 이렇게 되자 고시원생들의 불만은 사라졌지만 몇 년의 시간이 흐른 후 장미들이 시들어버린 장미농원은 더이상 예전의 모습이 아니게 되고, 로즈 마을 사람들은 김충악의 행동을 알고 생물법정에 고소한 것이다.

 

이 이야기는 마치 개그맨 유재석씨가 더빙한 영화 <꿀벌 대소동(Bee Movie, 2007)을 떠올리게 한다. 꿀벌이 더이상 꿀을 만들기 위한 행동들을 그만두자 도시 전체의 나무나 꽃이 시들어 버렸다는 이야기이다. 이런 점을 고려해 볼때 과연 벌이 없다는 것이 장미농원을 폐허로 만든 것에 원인 되는지, 그렇다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것을 법정 공방을 통해서 밝혀 내는 것이다. 책속에 등장하는 나머지 사건들은 그 사건으로 인해 영향을 받게 되는 각종 생물들의 사례를 통해서 생물학적 내용을 익히는 것이다.

 

생물학적 내용을 이렇게 법정 공방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그 아이디어가 멋진 책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