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가 우리를 열받게 하는 65가지 이유
전정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3년 5월
평점 :
품절


 

연기자 김혜수의 완전변신한 모습으로 인기를 얻었던 드라마 <직장의 신>은 직장인의 애환을 그렸다고는 하지만 기본이 드라마이기에 해피엔딩으로 끝이 난다. 하지만 정작 실제 직장에서도 그런 일들이 일어날까? 모르긴 몰라도 그 모습과 일치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100%의 모습을 담고 내고 있다고 말할순 없겠지만 레알 직장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생각이 든다. 오죽하면 제목마저 회사가 우리를 열받게 하는 이유를 무려 65가지나 쓰고 있을까?

 

구직에 실패한 사람과 실업자가 날로 증가하는 요즘 직장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라는 말이 있다. 그러니 어렵게 들어간 회사에서 어떻게든 살아남아야 하는 입장이다 보니 회사원은 '을'을 위치에 놓일 수 밖에 없다. 그렇기에 입사 초기 찬란한 포부는 점차 기업문화에 익숙해진다. 왜냐하면 그게 직장에서 살아남는 기본 수칙이기 때문이다. 이 직장 아니여도 헤드헌터에 의해서 다른 직장으로 스카우트 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유유자적 자신의 갈 길을 갈 수도 있겠지만 보통의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입장이다 보니 그렇게 되는 것이다.

 

이 책은 취업 준비생은 물론 현역에서 일하는 사람 모두에게 회사 내 직장 문화는 물론이거니와 상사에 대한 적나라한 모습을 보여준다. 어쩌면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그래도 어쩔수 없는거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게 하는 내용이기도 하다.

 

저자는 바로 이런 이유들로 인해서 이 책을 쓴다고 이야기한다. 직장 신입생이 저자가 겪었던 일처럼 그런 일들을 겪음으로써 혼자서 고민을 끌어안고 있다가 직장을 그만 두는 일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말이다.

 

이 책은 분명 우리 나라의 직장 문화나 사회 분위기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책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기업 관련 용어들도 대거 등장한다는 점에서 설렁설렁 쓴 책이라고도 말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왠지 뭔가 모르게 이상향만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는지 자문하게 되는 책이기도 하다.

 

저자가 말하는 직장문화 속에서의 돌파구를 실천할 수 없는 제안이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결코 쉽지만도 않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단번에 변화지 않기에 조금씩 노력함으로써 그 변화를 기대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그걸 몰라서 그냥 있지는 않을 것이며, 그들을 의지박약이라고 할 수만도 없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똑같은 현실이라고 해서 모두에게 똑같은 무게와 분위기로 다가오는 것은 아닐테니 말이다. 그러니 이 책을 읽고 내용을 자기것으로 만드는 것에 대해서는 각자 개인의 상황과 의견에 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