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의 속사정 - 알고 보면 지금과 비슷한
권우현 지음 / 원고지와만년필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보면서 드는 생각이란 결국 '사람사는 곳은 어디나 비슷한가 보다'였다. 지금에서 몇 백년 전의 이야기임에도 현재와 비교해 보면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이 책은 그런 의미에서 쓰여진 책이다. 조선 역시도 '알고 보면 지금과 비슷한' 부분이 많다는 것이다. 마치 춘화의 한 장면 같은 표지의 그림과 제목이 묘하게 어울리는 이 책은 지금과 비슷하지만 우리가 알지 못했던 속사정이란 과연 무엇일지 충분히 궁금하게 만드는 기대감이 있기에 역사의 한자락임을 감안하고서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일 것이다.
이 책은 크게, 조선의 사회, 경제, 국방, 정치라는 분야로 나누어서 그 속사정을 속속들이 파헤치고 있다. 그런데 그 내용을 자세히 읽어 보면 지금과 유사한 논쟁거리가 제법 등장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시대마다 미(美)의 기준은 달랐겠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미인이 대접받는 가마 단속에 관련된 이야기나, 조선시대에도 지금 우리의 4월 1일에 해당하는 만우절이라는 것이 있었다는 이야기는 흥미롭다. 또한 조선시대의 부정행위 커닝(cunning)에 관련된 이야기는 시대를 막론하고 도덕성에서의 문제와 함께 시험에 관한 웃지 못할 해프닝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전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우리에게, 과거 수차례 외적의 침입을 받아 온 우리들에게 '조선 국방의 속사정'은 흥미 이상의 의미로 다가 온다. 외적이 분단의 아픔과 잠재적 위험으로 변화된 지금 그럼에도 조선과 지금의 속사정에서 부국강병과 군사 무기, 병역 비리에 관련된 내용이 공존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은 대중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내용에 초점을 맞추면서도 흥미 위주의 이야기에서만 그치지 않는다. 그 예로 내용을 갈무리를 하고 있는 정치 분야에서는 단순한 조선과 21세기 대한민국의 비교 차원을 넘어서는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자세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알고 보면 지금과 비슷한 조선의 속사정을 재미있게 잘 알고 싶다면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