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하인리히 4세는 카노사에서 굴욕을 당했을까? - 하인리히 4세 vs 그레고리우스 7세 ㅣ 역사공화국 세계사법정 19
이영재.이명재 지음 / 자음과모음 / 2010년 12월
평점 :
황제가 교황에게 무릎을 꿇고 빌었다는 사실만 놓고 보자면 상당히 흥미롭게 다가오는 것이 사실이다. 막강한 권력을 가진 황제를 무릎 꿇게 한 교황도 대단하다 싶지만 과연 황제는 무엇 때문에 요즘말로 굴욕이라 할 수 있는 그런 행동을 했을지, 그것이 의미하는 바와 그 이후엔 어떤 일들이 일어났는지까지 세계사의 한 부분인 하인리히 4세와 그레고리우스 7세의 사건을 통해서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레고리우스 7세의 등장 이전까지 군주나 황제들은 교회의 성직자를 보호함은 물론이거니와 통제하며, 제국 교회 체제를 강화하고 있었다. 또한 직접 고위 성직자들을 임명하면서 교회를 자신의 권력 하에 둘 수 있던 시기였다. 하지만 그레고리우스 7세의 증장이후 상황은 달라지기 시작한다.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는 군주와 황제에게 속해있던 종교권에 정치 영역에서까지 절대적인 힘을 갖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러던 중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는 군주나 황제와 같은 정치적 간섭에서 벗어나 자유를 얻고자 했던 프랑스의 클뤼니 수도원에서 일어나고 있는 개혁 운동에 깊은 영향을 받게 되고, 나아가 교황 중심의 그리스도교 공화국 건설을 구상하게 된다.
이에 반해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하인리히 4세는 아버지인 하인리히 3세의 급작스런 죽음으로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르게 된다. 그리고 당연히 어린 황제인 하인리히 3세의 권력이 너무 약해서 고위 성직자들과 귀족 관리자 계층은 자신들의 이익을 채우는데 주력한다. 더욱이 주교와 수도원장을 선정하는 것 역시도 원래는 황제의 역할이였지만 힘이 약한 하인리히 4세이다 보니 이 마저도 고위 성직자들과 대 제후들에게 밀려나기 시작한다.
바로 이런 때를 노려서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는 교회 개혁을 주장하게 되고, 황제의 권한이던 성직자 임명권 마저 교회에 속하게 하려고 한다. 바로 이 일로 인해서 황제 하인리히 4세와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는 갈등하게 된다.
점차 입지가 좁아지는 하인리히 4세와 교회 개혁은 물론 교황권 강화를 외치던 황제와 교황 사이의 폐위와 파문은 어쩌면 예정된 수순이였을지도 모른다. 결국 하인리히 4세는 '카노사의 굴욕'이라고 알려진 대로 추운 겨울날 맨발로 무릎까지 꿇게 되는 것이다. 이에 하인리히 4세는 그레고리우스 7세를 직권 남용과 명예훼손으로 손해배상 소송을 걸어 역사공화국 세계사법정에 세우는 것이다.

양측의 엇갈리는 증언에서 우리는 그 당시 황제권과 교황권, 신성로마 제국의 제후들에 관련된 많은 이야기를 읽을 수 있을 것이다. 비록 후대인에게 굴욕적인 모습으로 남아 있는 하인리히 4세의 손해배상 청구는 기각되지만 그렇게 될 수 밖에 없었던 청구 기각 사유는 보다 많은 것을 깨닫게 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