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완전 종이 낭비야!
션 테일러 지음, 최지현 옮김, 박형동 그림 / 다림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일기(日記) : 날마다 그날그날 겪은 일이나 생각, 느낌 따위를 적는 개인의 기록이라고 정의된다. 초등학교 때까지는 거의 의무감에 일기를 썼던 기억이 난다. 나의 개인적인 기록을 선생님은 검사라는 명분으로 매일 읽었다. 그리고 일기를 쓰지 않는다는 이유로 혼이 나기도 하고 말이다.

 

그리고 중고등학교때는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 나의 자유의지로 일기를 썼었던 것 같다. 나름의 사춘기를 지나는 과정에서 누군가에게 터놓고 말 할 수 없었던 이야기들을 일기장을 친구삼아 털어놓았던 셈이다.

 

이 책은 그런 일기가 이야기의 중심이자 주인공인 제이슨을 성장시키는 매개체로 작용하는 것 같다. 보여지는 이미지만으로 평가하자면 제이슨은 충분히 불량학생이나 '괜찮다'라고 말하지만 제이슨의 내면에 차지하고 있는 분노와 슬픔은 제이슨은 점점 불안정하게 만들고 걸핏하면 사고를 치게 만들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런 제이슨은 자신처럼 낙인 찍힌 아이들만 모인 헤런포드 학교에서도 여전히 문제아로 남아 있다. 그런데 '행동 장애'라고 판정받은 제이슨의 그런 행동들에는 다 이유가 있다. 바로 과거 엄마의 옛남자 친구 '존 아저씨'가 제이슨에게 폭력을 행사했고, 심지어 마약 판매에까지 이용했기 때문이다.

 

엄마까지 다치게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제이슨은 참게 되고 그런 마음들이 분노와 슬픔으로 폭력화되는 것이다.

 

이처럼 암울한 제이슨에게 피트 선생님이 다가온다. 그리고 제이슨에게 일기를 써 보라며 공책 한권(제이슨의 일기장)을 건넨다. 맨처음 제이슨은 그 제의를 받고 "이따위 것 완전 종이 낭비야!", "도대체 왜 이따위 걸 써야 하는 거죠?"라고 말하면서 짜증을 냈었다.

 

하지만 처음 그런 마음과 달리 일기를 써가기 시작하면서 제이슨은 스스로 위로를 받고 성장해가게 되는 것이다. 그누구에게도 말할 수 없었던 마음속 응어리들을 제이슨 이 노트 한권에 담아내는 것을 통해서 스스로 상처를 치유해가고 있었던 것이다.

 

폭력 앞에서 엄마를 지키기 위해서 자신을 희생했던 제이슨의 마음을 결국 엄마가 알게 되고 이야기는 해피엔딩으로 마무리된다.

 

이야기는 간단한다. 하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마음의 분노와 슬픔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고, 위로 받지 못하는 우리 아이들의 모습이 투영되어 보인다. 제이슨의 경우처럼 극단적이진 않을지라도 충분히 아파하고 힘들어하는 이유가 있음을 생각할때 그것을 표출하지 못하고, 그 문제들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채 계속 이어간다면 결국 제이슨과 같은 아이들은 스스로를 점점 다치게 할 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제이슨처럼 문제를 안고 사는 아이들이 편하게 말할 수 있는 대상이 그게 누구라도 생겼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게 하는 책이며, 이런 생각을 통해서 내 아이들에게 나는 그런 부모가 되어야 겠다는 다짐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