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트라 황금지구의
가이도 다케루 지음, 신유희 옮김 / 예담 / 2012년 1월
평점 :
절판


 

 

물성물리학과(物性物理學科)의 대학원까지 다니다 연구의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고 가업인 히라누마 철공소의 영업을 담당하고 있는 헤이스케는 8년 만에 나타난 히사미츠 조지 즉, 글라스 조의 출현으로 일생 일대의 사건속에 빠져들게 된다.

 

글라스 조는 낡은 신문 쪼가리를 헤이스케에게 보여준다. 그 신문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1989년, 고향 창생 사업이 일환으로 사쿠라노미야 시에 분배된 1억 엔으로 금괴를 구입한 사쿠라노미야 시청 관재과는 이번에 황금지구의를 제작했다. 다만, 유감스럽게도 황금 부분은 일본과 북극에 새겨진 사쿠라노미야의 심벌마크 부분뿐."

 

과거 거품 경기로 일본의 국가 재정이 넘쳐나던 때에 국가에서는 각 지자체에 고향 창생기금 1억엔을 분배했고 사쿠라노미야 시에서는 황금의 나라(지팡구)라 불렸던 일본의 옛 영광을 재현한다는 거창한 명목으로 황금지구의를 만들었던 것이다. 글라스 조는 사쿠라노미야 수족관에 전시되어 있는 바로 그 황금지구의를 함께 훔쳐 내자고 제의한다. 지하드 다이하드(성전에 살고 성전에 죽는다)라는 암호명을 들먹이며, 계획을 얘기하는 글라스 조에게 헤이스케는 자신도 모르게 점차 동화되어 간다.

 

그러다 자신의 아버지가 시청 관재과와 비밀리에 맺은 수의계약의 헛점을 고니시 과장이 악용해서 헤이스케에게 황금지구의의 보안을 떠맡기게 된다. 그리고 그 수의계약대로라면 만약 황금지구의가 도난당할 경우 모든 책임이 헤이스케 자신을 포함한 히라누마 철공소 전체에 미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에 억울함을 느낀 헤이스케는 이전과는 달리 적극적으로 황금지구의를 훔칠 계획을 세우고 실행에 옮기게 된다. 하지만 우여곡절 끝에 훔쳐 온 황금지구의는 예상과는 달리 벌써 누군가가 황금을 훔쳐가 뒤다. 과연 일이 어떻게 된 것일까?

 

이제는 훔친 황금지구의를 다시 제자리에 가져다 놓는 것이 시급한 문제가 되어 버렸다. 헤이스케, 글라스 조, 그리고 이 일을 뒤에서 도와주는 4S의 사요와 미즈토, 아이까지 많은 사람들이 황금지구의 사건에 관련된 것이다.

 

책의 후반부에서는 이미 텅 비어 버린 황금지구의 실체가 베일을 벗는다. 그 과정에서 조금 이야기의 재미가 반감되는 느낌이 있다. 황금지구의를 훔치기 위해서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기까지는 나름 흥미롭게 진행되는데 텅 비어버린 황금지구의를 가져다 놓고, 그 이후에 벌어지는 일들이 조금 억지 같은 면이 없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날건달 같았던 글라스 조의 진짜 실체가 밝혀지는데 그 점도 조금 황당한 것이 사실이다. 여기에 더해서 그 이후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지나치게 해피엔딩으로 이야기를 끌어가는 것이 너무 비약이 심한게 아닌가 싶은 생각까지 들기 때문이다.

 

마무리부분을 그렇게까지 결론짓지 않는 것이 오히려 이야기의 재미를 더하지 않았을까하는 아쉬움이 남는 그런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