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우울할까 - 멜랑콜리로 읽는 우울증 심리학
대리언 리더 지음, 우달임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개인사 뿐만이 아니라 사회 안팎으로 온통 우울한 일들 투성이다. 즐거워지려고 해도 즐겁기 힘든 시기가 아닌가 싶다.

그러던 차에 이 책은 확실히 관심을 끈다. 저자는 대놓고 <우리는 왜 우울할까>하고 직접적으로 묻고 있다. 게다가 특이하게도 우울증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애도와 멜랑콜리에서 그 해법을 찾을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처음에 이게 뭔 소리인가 싶었다.

 

보통 우울증에 대한 진단과 함께 해결방법의 하나로서 우울즐 약을 처방하는 것이 대중적이고, 보편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왔고, 그렇게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생각을 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저자는 그러한 대중들의 생각에 반대되는 주장으로서 우울증 진단과 처방에 우울증 약을 먹는 것이 능사가 아님을 말한다. 그러면서 동시에 애도와 멜랑콜리를 그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과연 두 가지가 어떤 의미에서 관련이 있고, 어떻게 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인지 너무나 궁금해지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저자는 "심리학에서 애도는 상실을 극복한다는 관념과 동일시된다. 그러나 우리는 상실을 극복하는가? 오히려 다양한 방식으로 상실을 삶의 일부로 만들지 않는가? 때로는 생산적으로 때로는 파국적으로, 그렇지만 결코 쉽지는 않게 말이다. 애도에 대한 좀더 면밀하고 상세한 관점을 통해 애도의 기제와 변천을 탐구할 수 있다. 멜랑콜리는 한물간 범주, 역사적 호기심거리, 자기도취적인 슬픈 기분을 이르는 시적 용어 등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멜랑콜리에는 이보다 더 많은 것이 있다. 그리고 자기 인생이 하찮고 살만하지 못하다고 확신하는 사람처럼 멜랑콜리는 심각한 우울 증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누군가의 상실, 또는 무언가의 상실에서 오는 우울증을 겪는 것은 상실 대상에 대해 애도를 제대로, 충분히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즉, 충분한 애도의 기간을 거치고, 충분히 애도를 표현함으로써 스스로 상실에 대한 우울감을 극복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우울증에 대한 진단과 처방의 이면에는 제약회사와의 금전적 거래, 지원 등으로 인해서 충분히 그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객관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저자는 지적하고 있다.

 

우울증에 대해 너무나 당연시되던 우울증 약 대신 각자 개인의 원천적이고, 근원적인 문제들을 들여다 보고, 그것을 해결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임을 저자는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문제를 제대로 직시함과 동시에 그것을 애도의 작업화로 표출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즉, 어떠한 형태로든 애도 대상에 대한 감정적 표출을 이루어 냄으로써 마음 속에 감겨져 있는 우울감을 밖으로 끄집어 내도록 하는 것이 핵심 포인트인 것이다.

 

보통의 우울증 관련 책들을 보면 어려운 학계 용어를 나열함으로써 학술 논문 못지 않은 저술을 펼쳐 보인다. 그러한 사실적 내용들에 정보를 얻을진 몰라도 크게 공감대는 갖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보통의 해결 방식에서 벗어나 자기 자신에게 집중함으로써 그 문제의 해결법 또한 당사자에게서 찾는다는 그 발상이 상당히 흥미로우면서도 오히려 실직적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 여자집 2011-12-29 16: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잘 봤습니다.^^

gazahbs 2012-01-02 22:09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