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비리그의 빛과 그늘 - 능력주의 사회와 엘리트의 탄생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1년 11월
평점 :
품절


 

먼저 본격적인 얘기에 들어가기에 앞서서 아이비리그라고 불리는 대학을 2010년 학생 정원이 많은 순서대로 소개해 보면, 컬럼비아대학교, 하버드대학교,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코넬대학교, 예일대학교, 브라운대학교, 프린스턴대학교, 다트머스대학교이다. 아마도 이 전체를 제대로 다 알고 있는 사람은 생각보다 많지 않을 것 같다. 그 정도로 우리에겐 하버드나 예일이라는 대학교가 마치 아이비리그를 대변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내 기억으로 내가 처음으로 아이비리그라는 단어와 그중에서도 하버드대학교라는 단어를 들어 본건 <7막 7장>이라는 책을 읽으면서 였다. 그때까지만 해도 아이비리그의 파워를 잘 알지도 못했거니와 입학과 졸업이 그렇게 대단한 일인지도 몰랐다.

 

하지만 해를 거듭해 갈수록 아이비리그에 입성한 우리나라의 학생이 있다 싶으면 언론매체는 앞을 다투어 그 사람을 보도하고, 그 사람의 수기는 어느새 서점가의 베스트셀러 대열에 오른다. 심지어 어떤 이는 지속적으로 자신의 행보를 담은 책을 펴내기도 한다. 이렇듯 어느새 아이비리그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겐 선망의 대상이자 호기심의 대상을 넘어서서 글로벌 엘리트를 위한 하나의 단계처럼 여겨지게 된 것이다.

 

책의 제목에서도 미리 짐작할 수 있겠지만 이 책은 아이비리그의 설립에 대한 역사적 배경에서부터 현 주소까지의 거의 모든 내용을 다양한 통계 자료와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는 비교적 객관적인 논점에서 들여다 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비리그에 입학한 국내 학생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어렴풋이나마 수박 겉핥기 식으로 들을 수 있었던, 잘 포장된 이미지의 아이비리그가 아니라 진짜 아이비리그를 읽을 수 있는 기회가 아닐까 싶다. 그리고 미국내의 대학들에 대한 솔직한 내용도 읽을 수가 있다. 물론 주된 이야기는 아이비리그에 초점을 맞추고는 있지만 아이비리그의 현재 상황과 여러 문제점, 동시에 강점 등에 대해서 논할 때 미국 내의 여러 대학 자료들을 함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아이비리그가 어떻게 능력주의 사회와 엘리트의 탄생에 기여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러한 과정에서 파생된 사회적 문제에 대한 이야기까지가 아이비리그의 설립과정에서부터 자세히 나온다. 이 책이 설립 연도에서부터 시작해서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이야기가 결코 지루하지 않고 오히려 그 어느 소설책 못지 않게 흥미로운 것은 다가오는 것은 아마도 재산과 마찬가지로 교육과 학벌 마저도 유산되는 한국의 사회의 단면을 공정성의 롤 모델이라고 자부하는 미국의 아이비리그의 진화 과정에서 고스란히 볼 수가 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이 책을 보고 있노라면 더 이상 "개천에서 용난다"는 말이 크게 현실감있게 다가 오지 않는다. 여러 통계 자료에서도 보여지듯이 부모의 자산과 아이비리그 입학생의 성정이 정비례하고, 나아가 그나마 공식화할 수 있는 SAT 이외의 것들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아이비리그의 빛이 일부 상류층 그들만의 잔치가 아닌가 싶기도 하다.

 

저자가 중간 중간에 희망적인 해석이나 의도를 눈물겨울 정도로 끼워 넣기도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 읽을 수록 교육의 대물림이 씁쓸하게 다가온다. 아이비리그라는 말이 왠지 그들만의 리그로 들린다면 괜한 망상일까.

 

하버대의 학부 학장 해리 루이스는 2006년에 출간한 <영혼 없는 수월성>이란 책에서 "부자들은 하버드를 '쇼핑몰'로 여기고 저소득층은 신분 상승을 위한 '구명 보트'로 여긴다"고 썼다고 한다. 물론 누군가에겐 아직도 아이비리그가 확실히 신분 상승의 수단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실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당선되었을 당시 그와 그의 아내 미셸이 아이비리그 학력이 대다수의 미국인들에게 상당히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 일으킨 것처럼 말이다.

 

설립 당시를 생각한다면 확실히 아이비리그는 기회균등과 평등의 이념을 실천하고 있는 셈이다. 비록 현재에 와서는 대학에 기업 윤리가 작용하고 있음을 무시할 순 없지만 이런 부작용의 이면에도 사회에 기여한 바 역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저자의 바람처럼 아이비리그의 빛이 어둠과 그늘을 양지로 이끌어 주는 역할을 잊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