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영화 <도가니>의 영향으로 소설이 다시 화제로 떠올랐기에 어떤 사건인가 싶어서 정말 그 단순한 마음으로 읽었다.
영화가 상영되고 사람들에게 다시 그때의 사건이 회자되고, 그 당시의 판결에 대한 피해자들에 대한 대국민적 분노가 도가니탕을 이루는 이때에 이 책을 읽으면서 "뭐 이런, 도대체 어떻게 이런 일이, 세상에 이런 일이!' 을 몇 번이나 외쳤는지 모르겠다.
무진이라는 도시에 자애학원이라는 농아들을 위한 장애인 특수학교가 있다. 마을과는 마치 별개의 곳인냥 그렇게 외딴섬 같이 고립되어 있는 곳이다. 서유진과 강인호는 무진이라는 생산성이라고 전혀 보이지 않는, 마치 도시 전체가 시들어 가는 듯한 곳에 새로이 정착한 이방인 같은 존재이다. 사업에 실패하고 아내의 주선으로 오게 된 자애학원에 그는 그저 정식 교사 발령을 받기 위한 하나의 과정처럼 생각하고 왔을지도 모른다.
부임 첫날부터 뭔가 이상함을 감지하지만 섣불리 자신이 나설 수 없는, 어쩐지 자신이 거르슬 수 없는 분위기를 느낀다. 자신의 담임반에서 첫 인사도 나누기 전 울고 있는 동생의 죽음으로 울고 있는 민수와 반 아이들을 보면서, 그들의 눈 속에서 자신이 뭔가를 알아 주길 바라는 일순간의 희망을 발견한다.
무진시 전체를 안개가 덮고 있듯이 자애학원 전체를 농아들의 침묵을 덮어버리고도 남을 또다른 침묵이 흐르고 있음을 빠르게 인식하는 인호다.
학교 이사장의 쌍둥이 아들들인 교장과 행정실장을 비롯하여 수양딸이라는 윤자애라는 교사에, 다른 교사들까지 기간제 교사인 그를 무시하면서도 뭔가 설치고 다니는 것은 좋지 않을 것이라는 노골적인 적대감과 멸시를 보이기까지 한다.
원래 감출 것이 많고, 뒤가 구린 인간들이 적반하장격으로 더 소리치는 법이다. 하지만 그들이 알지 못하는 것이 있다면 바로 그런 행동들이 더 주위를 끌며, 상대로 하여금 무슨 일인가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 일으키기도 한다는 것이다.
유리와 연두, 민수를 둘러싼 모종의 사건들을 발견하기도 전에 그는 윤자애에 의해서 린치를 당하고 있는 연두를 발견하게 되고, 처음 그냥 기간만 채우다 가겠다는 방관자의 입장에서 드디어 그는 사건의 중심으로 깊숙이 발을 들여다 놓게 된다.
알면 알 수록 사건을 파헤치면 파헤쳐 갈 수록 점입가경이다. 대학선배로 먼저 무진시에 와 있던 서유진과 함께 본격적으로 자애학원의 비리, 교장과 행정실장, 생활지도교사의 만행을 고발하는 힘든 과정을 겪는다.
이 사건에는 비단 그들만이 관련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무진시 전체에 교장 형제의 영향력이 미치는 것처럼 무진시 전체가 이 극악무도하고 경악스러운 사건들 앞에서 자신들이 가진 것들을, 자신들이 이전까지 누리던 것들을 뺏아기게 될까봐 단결된 모습을 보이게 된다.
서유진은 오래도록 그런 생각을 했다.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게 뭐지? 하고 누군가 물으면 그녀는 대답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건 거짓말이었다. 거짓말. 누군가 거짓말을 하면 세상이라는 호수에 검은 잉크가 떨어져내린 것처럼 그 주변이 물들어버린다. 그것이 다시 본래의 맑음을 찾을 때까지 그 거짓말의 만 배쯤의 순결한 에너지가 필요한 것이다. 가진 자가 가진 것을 빼앗길까 두려워하는 에너지는, 가지지 못한 자가 그것을 빼앗고 싶어하는 에너지의 두 배라고 한다. 가진 자는 가진 것의 쾌락과 가지지 못한 것의 공포를 둘 다 알고 있기 때문이다. 가진 자들이 가진 것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거짓말의 합창은 그러니까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어서 맑은 하늘에 천둥과 번개를 부를 정도의 힘을 충분히 가진 것이었다.(p.246)
진실이 오히려 거짓이 되고, 거짓이 진실이 되기도 하는 순간이 보인다. 그들의 만행을 세상에 알리고자 했던 이들이 오히려 세상을 호도하려는, 마치 그들 개인의 이익을 위해서 이 사건을 꾸민것처럼 되어 버린다.
모든 이들이 자신들의 관점에서 자신의 이익을 위해 애쓴다. 아이들을 위해 애쓴 사람들이 오히려 욕을 먹는 상황에서 우리는 과연 무엇을 기대할 수 있단 말인가.
그들의 죄는 인정되나 사회에 공헌한 점과 피해자의 부모가 합의한 점 등등등, 뭔 이유가 그렇게 많은가 말이다. 과연 그 모든 이유들이 그들의 죄가 감형될 이유가 되는가 말이다.
세상의 모든 시선들을 감내하고서라도 진실을 밝히고 싶었던 그들의 행동이, 진실이, 결국엔 정의가 통할 것이라는 그 믿음을 깨뜨려버린 이들에게 진실이란, 정의란 과연 무엇인가 말이다.
진실과 정의가 통하지 않는 사회에서 과연 더이상 무엇을 위해서, 무엇 때문에 우리는 우리의 모든 것을 걸고 싸워야 하는 것인가.
어린시절 어머니는 말했다.
하늘이 무섭지도 않은지, 하고.
그런데 이제 강인호는 생각했다.
그 무서운 하늘이 없을까봐 무섭다고.(p.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