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여자 - 오직 한 사람을 바라보며 평생을 보낸 그녀들의 내밀한 역사
김종성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조선시대 왕에겐 3분류의 여자가 있었다.

궁궐의 노비, 궁녀. 왕의 첩, 후궁. 또 하나의 주상, 왕후.

모두가 궁안에서 오로지 왕을 바라보며 한편으로 그의 성은을 바라며 살기도 했다. 그동안 조선시대 왕에 대한 고증이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소설, 역사책, 드라마, 영화 등은 많이 소개되었지만 정작 그보다 많은 수를 차지했던 왕의 여자들에 대한 접근은 볼 수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 점에서 사실 이 책은 상당히 흥미롭다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이런 자료를 한권의 책으로 엮어 냈다는 사실도 상당한 노력의 결과물이라는 생각이 든다.

 

저자는 이렇듯 왕에게 존재했던 3분류의 여자들을 조사하고 글을 쓰는 과정에서 흥미롭게도 3분류에 모두 해당하는 여인을 한명 발견하게 된다. 그녀는 바로 우리에겐 장희빈이라고 더욱 잘 알려진 바로, 희빈장씨 장옥정이라는 인물이다. 궁녀로 입궐해서 윤()을 낳아 세자에 봉해지자 희빈에 올랐다가 인형왕후가 폐위되자 왕비의 자리에 까지 오른 인물이다. 그렇기에 저자는 장희빈의 관점에서 이 책을 서술하고 생각했던 것이다. 이전까지의 역사서들과는 달리 이 책이 가급적 당파당론과 같은 그 시대의 정치적 배경을 배제하고자 하는 동시에 오로지 왕의 여자로서의 모습만을 담고자 노력한 것도 사뭇 다르다고 할 수 있겠다.

 

1장에서는 왕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고해도 과언이 아닌 궁궐의 노비, 궁녀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궁녀의 역사에서부터 시작해서 궁녀를 선발하던 과정이나 모습, 궁궐에 거주했던 실제 그녀들의 숫자까지도 나오며, 얼마전 한국 공포영화 <궁녀>를 통해서 그녀들의 삶을 비교적 자세히 보여준 바 있는 궁녀들의 조직과 품계는 확실히 흥미로운 부분이였다.

그리고 그냥 왕이나 궁궐 내의 잡다한 일들을 할 것이라는 생각과 달리 상당히 분업화되고 전문화되어 있는 그녀들의 역할도 자세히 나온다. 또한 흔히들 성은을 입었다고 표현하는 왕과의 하룻밤과 왕의 여자였지만 모두가 사랑받지 못하는 슬프고 기구한 운명으로 인한 그녀들간의 동성애, 더 나아가 궁녀의 신분으로 정치적으로 이용당했던 모습도 잠깐 언급한다.

그리고 그녀들이 궁녀로 입궁해서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인생사가 담겨 있기도 하다. 궁녀는 원칙상 종신제였으나 죽음이 임박한 경우, 소속 전궁의 상전히 승한 경우, 왕궁에서 방출 결정을 내리는 경우, 타의에 밀려 왕궁이 방출 결정을 내리는 경우, 비위 사실이 발각된 경우에 한해서 궁궐을 떠나야 했다.

그리고 궁녀와 똑같이 대궐 사무를 처리하면서도 궁녀 신분을 갖지 않은 유사 궁녀라는 여인들이 있었다. 의녀를 제외하고는 무수리, 비자, 방자라 불리는 비정규직 궁녀였던 그들은 형식상으로는 궁녀의 보조자였으나 실질적으로 궁녀나 다름없는 존재이기도 했다.

 

2장은 보통 권력의 암투자로 비춰지는 왕의 첩인 후궁이다.

워낙에 장희빈의 영향이 큰지라 보통 후궁들은 왕의 사랑을 받고, 원자를 생산해서 국모의 자리를 노리려고 하는 모습으로 비춰질 때가 많았다. 여기서는 후궁의 역사와 함께 후궁이 될 수 있었던 4가지 방법을 통계상으로 잘 보여주고 있으며, 엄연히 그들 사이에서도 존재했던 서열인 후궁의 품계도 알아 볼 수 있다.

그밖에도 후궁의 직무와 함께 왕의 여자들이니 예쁘겠지란 우리의 생각에 궁금증을 해결해줄만한 자료이기도 한 후궁의 외모에 대해서도 언급되어진다. 그들은 우리의 기대와 달리 내실을 따져 선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였기에 그 미모는 우리의 기대감을 충족시켜 주지는 못할 듯 하다. 그리고 그들의 최대 임무라고 봐도 좋을 수 있는 출산과 자녀 생산성에 대한 이야기와 왕의 어머니가 되기도 했던 후궁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궁녀와 같이 그들 최후의 삶의 모습까지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마지막 3장에서는 왕의 여인들 중에서 가장 서열이 높았다고 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주상, 왕후에 대한 이야기다.

여기에서는 역시 왕후를 선발하는 네 과정과 함께 실제 간택과 혼례로 이어지는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가 나온다. 그리고 후궁과 마찬가지로 왕실에서 중시한 특성은 미(美) 아니라 덕(德)이였기에 실제 왕후의 미모 역시도 우리가 TV 드라마를 통해서 보아온 그 미모와는 분명 차이가 남을 알아야 할 것이다. 보통 왕후를 내-외명부의 수장이라고 지칭한다. 그런 왕후의 실질적인 권한이나 명칭, 위상에 대한 것들이 나온다. 왕후의 부부생활은 쾌락이나 개인적 만족감이 아닌, 무엇보다 후계자 생산이 일차적이자 중요한 목적이였던 만큼 국가의 공식 의례로까지 여겨졌으며, 여기서는 그 준비와 실제 과정들이 비교적 자세히 나온다.  그리고 국왕의 어머니로서의 삶과 왕의 죽음이후의 삶과 본인의 사후의 모습까지도 소개하면서 왕후의 일생은 일단락된다.

 

본론에 덧붙여 이 책이 귀하다여기게 했던 또하나의 이유는 바로 부록에 나와 있는 조선시대 왕후 일람표였다. 학창시절 조선시대 역대 왕들을 열심히 암기했던 기억은 나지만 그간 어디에서도 조선시대 왕후와 후궁의 일람표를 본 기억은 없다. 그런데 여기서는 1대 태조의 왕후부터 27대 순종의 왕후와 후궁의 기록이 나온다. 그녀들의 간략한 신상명세서와 함께 선발되었던 방식, 자녀 정보, 현재 무덤의 소재지에서 개인적 특이사항에 이르기까지 이 부분만으로도 충분히 흥미로울 수 있는 자료가 아닐 수 없다.

 

드라마나 역사책에서 마치 배경같은 이미지와 간혹 권력을 얻고자 투기하거나 모함하는 모습이 아닌 그녀들의 전반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들에 대해서 알 수 있었던 점이 무엇보다도 좋았던 것 같다.

 

궁궐에는 한명의 왕이 존재했지만 그 보다 훨씬 많은 인생의 희노애락을 가진 왕의 여자들이 함께 했음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