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라임 오렌지나무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 1
J.M 바스콘셀로스 지음, 박동원 옮김 / 동녘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교적 늦은(?) 나이에 이 책을 제대로 읽었다. 그리곤 내 책장 속 책들 중에서 Best Books 중 한권으로 당당히 자리 잡고 있다. 그리곤 자주 읽히겐 된 셈이다.

워낙에 많은 번역본이 있기도 하다. 내게도 한권 더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은 기타의 번역본들 중에서 가장 단정한 느낌이 든다.

 

충분히 사랑스러운 아이 제제의 모습이 소설 속에서는 제대로 사랑받지 못하는 모습이 참으로 안타까웠던 소설이다.

아이의 세계에서 제제의 사랑스러운 모습은 어른의 눈에 철부지이고, 말썽꾸러기 같은 아이, 악마같은 아이라는 것으로 비춰지기도 한다.

대가족 사이에서도 제제는 어느 누구로부터도 진정한 보살핌과 애정을 받지 못하고 살아간다.

제제는 누구에게도 이해받지 못하는 자신의 감성과 이야기를 라임오렌지 나무와 이야기를 하며 위로를 받는다.

그리고 우연한 기회로 알게 된 뽀르뚜가 아저씨와 나이를 초월한 우정을 나누게 된다.

이제 더이상 제제는 외롭지도 않다.

자신의 마음과 이야기를 진심으로 들어주는 친구가 둘이나 있는 셈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소년의 행복한 하루도 어느날 갑작스럽게 기차사고를 죽은 뽀르뚜가 아저씨의 죽음으로 끝이 난다.

그리고 소년은 깊은 슬픔 속으로 침잠하게 된다.

가족들은 그런 소년의 모습을 이해할 수가 없다. 그들과는 함께 공유한 추억이 없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추억을 공유한 사람들은 상대가 누구이든지 어디에 있든지 영원히 끊어지지 않는 인연이라는 끈으로 연결된 채 살아간다.

이제 제제는 더이상 철없던 소년이 아닌다.

제제가 뽀르뚜가를 잃은 이후 더이상 이전의 제제는 사라지고 없는지도 모른다.

 

사람은 자의든 타이든 언젠가는 철이 들게 마련이다. 철이 든다는 것은 어쩌면 세상이 결코 무지개빛만이 아니라는 것을, 나의 찬란한 꿈대로만 되지 않는다는 것을, 내 조그만 행복마저도 처참히 부서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하는지도 모르겠다.

제제가 뽀르뚜가를 잃던 그날의 절규에 가슴이 함께 무너지던 책이다.
 

절대로 잊지 않아. 다시 말하지만 너만을 위해서야. (p.49) 

인생이란 생각처럼 그렇게 쉬운 게 아니야.(p.2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