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혜옹주 - 조선의 마지막 황녀
권비영 지음 / 다산책방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순식간에 책을 읽어 내고 나서 처음 느낀 점이라면 그녀가 만약 고종의 바람과는 달리 대한제국의 황녀로 이름을 남기지 않았더라면 오히려 행복하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을 해본다.

물론 고종의 뜻한바는 이런 결과는 아니였겠지만 결론만 따지고 본다면 오히려 그녀는 여념집 여성보다 더 못한 삶을 살았는지도 모르겠다.

조선의 마직막 황녀라는 그녀의 신분이 오히려 그녀에겐 덫 같이 작용했지 않았을까.

자신의 신분으로 인해 한 순간도 자유로웠던 어린 시절조차도 어찌보면 자유롭지 않았던 삶을 살았던 덕혜옹주.

어쩌면 이렇게도 그동안 그녀의 삶과 인생, 그 존재조차도 까맣게 잊혀진 채로 있었을까.

그녀의 삶에 대한 연구가 일본에서 활발하고 그녀에 대한 자료조차도 일본에 더 많이 있다는 것이 아이러니다.

조선의 가장 높고, 고귀한 신분이였을 그녀가 일본으로 건너가 강제로 결혼식을 올리고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남편과 하나 남은 딸에게 조차 버림 받은 채 결국은 한국으로 귀환하기 전까지 정신병원에 있었다는 사실은 실로 놀랍기 그지 없다.

황실을 재건하려는 많은 움직임이 그동안 꽤 있었던 걸로 안다. 정부 차원에서도 뭔가 조치를 취했어야 하지만 정말 조선 황실을 재건하려는 사람들도 덕혜옹주에 대한 조치를 좀 더 빨리 취했어야 하지 않았을까하는 안타까움마저 남는다.

그녀가 일본으로 떠나기전 사진을 보면 정말 어린 소녀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누군가가 지켜줘야 했을 그녀의 삶이 다시 환국하기 전까지 얼마나 고단했을까는 상상조차 할 수가 없다.

나라가 힘이 없어 자국민을 지켜 줄 수 없었던 현실이 가슴 아플 뿐이다.

이제는 예술이라는 장르의 한 소재를 통해 대중앞에 부활한 그녀의 삶을 비록 소설로나마 만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