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랑 - 왕을 움직인 소녀
이수광 지음 / 네오픽션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저자가 먼저 밝히는 것과 같이 이 소설은 문랑과 차랑의 산송(山訟) 문제와『유연전』에서 모티브를 빌려 왔다고 했다.『유연전』에 실린 이 사건은 실제 대구에서 일어났던 사건을 기록한 것으로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이기도 하다.

그만큼 읽는 내내 기묘하면서도 요즘에서나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이 그 당시에도 있었다는 것에 흥미롭기도 했다.

재산을 탐내고 그 재산가의 자식노릇을 한다는 설정은 드라마에서도 익히 많이 보여졌고, 실제 외국의 사건에서도 간간이 들어 본 것이다.

그런 일이 조선시대에 있었다는 것은 인간의 탐욕이라는 것은 시대에 상관없는 것이구나 싶기도 했다.

 

아버지 박수하의 공부에 대한 기대와 강압적인 태도에 10여년 전에 집을 나간 아들 박제구. 박수하는 성주 땅의 유지이다. 박수하 딸이자 박제구의 여동생들인 문랑과 차랑. 그리고 박제구의 처 이숙영, 그녀의 오라비 이창래. 그들 두 오누이는 몰락한 양반 가문의 자제이다. 어릴적 박제구는 총명하였으나 학질을 앓은 이후 치인(癡人:어리석은 사람)이 되어 버렸고, 이와 달리 그의 막내 동생 차랑은 오히려 학질을 앓은 후 한번 본 것은 잊어버리지않는 실로 대단한 총기를 가지게 된다.

어쩌면 이때부터 두 사람의 운명은 달라졌는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10년 넘게 박제구가 돌아오지 않자 박수하가 죽으면 모든 재산이 두 딸에게 돌아갈 것으로 짐작한 이창래는 동생 숙영과 모의하여 한양 남산골의 조석술을 박제구로 위장하고자 한다.

조석술 또한 그 인물이 사기꾼이라 이에 흔쾌이 응하고 그들은 이창래의 첩인 옥년이와 조석술의 아이를 박제구의 첩과 아들인 것처럼 꾸며서 박제구를 찾아 온다.

그렇게해서 박경여 집안과 박수하 집안의 산송문제가 막을 올리는 것이다.

 

처음 의심하던 박수하도 며느리가 인정하자 어쩔수 없이 일단 받아 들이게 되고, 그 사이 차랑이 절에 가던 도중 화적을 만나 봉변 당할 뻔할 때 그녀를 구해준 박원규와 두 집안의 인연이 닿게 된다.

차랑은 아버지를 설득에 그와 혼담이 오가도록 하고, 이창래와 옥년의 관계를 눈치 챈 차랑의 지혜로 옥년은 모든 사실을 이실직고 하지만 오히려 이창래 일당은 박수하가 재산을 오빠로부터 가로채려는 두딸에게 속아서 아들을 부인한다는 실로 웃지 못할 송사가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아버지는 아들이 아니라 하고, 아들은 아버지라 하고, 며느리는 남편이라 하는 판국이라 이 일은 흥미진진한 사건이 되고, 결국 재판은 이창래 일당의 편을 들어 준다.

 

그 뒤에 이창래 일당은 박경여의 부친이 묘자리로 박수하의 선산이 길지라는 것을 미끼로 내밀고 가짜 박제구(조석술)를 내세워 묘를 쓰도록 허락한다. 이 일로 결국 두 집안은 산송문제로 재판까지 하게 되고, 앞서 가짜 박제구가 아닌 이유가 없다는 것을 판결로 내렸던 판례를 들어 박경여에 유리하게 판결이 난다. 이에 격분한 박수하가 항의를 하다 곤장을 맞고 죽고 이에 두 집안은 걷잡을 수 없는 사태에 이른다.

서로의 체면과 자존심 때문에 두 집안은 한치도 물러서지 않고 이 과정에서 문랑과 박경여 집안의 어른도 죽게 된다.

결국 철천지 원수가 된 두 집안으로 차랑과 박원규의 혼담도 물건너 가고, 차랑은 억울함에 한양까지 걸어가서 신문고를 울려 진상을 밝혀 줄 것은 읍소한다.

 

암행어사까지 출동하는 등의 여러 우여곡절 끝에 이창래 일당이 잡히고, 진짜 박제구를 소환해 옴으로써 사건은 일단락된다.

그리고 성주 목사 이일경은 두 집안을 화해시키고자 차랑과 원규의 혼담을 주선하고 둘은 결혼해서 아이 넷을 낳고 잘 산다는 결말이다.

 

이 책을 읽는 내내 그리고 읽고 난 마지막 감상평은 "도대체 얜 뭐야?" 라는 것이다. 부제를 왕을 움직인 소녀라고 하기보다는 세상을 쥐락펴락한 것 같기 때문이다.

 

애초에 이창래 일당이 그런 계략을 생각한 것도 차랑이 『탁씨일가전(卓氏一家傳)』을 필사해서 이창래가 훔쳐가도록 유도했고 이 책을 통해서 책의 내용처럼 이창래가 일을 꾸미도록 했기 때문이다. 차랑은 이창래가 평소에도 자신의 고서적을 훔쳐다 판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고, 이를 계기로 더 큰 일을 도모한 것처럼 비춰지기 때문이다.

 

실제 산송 문제로 언니가 죽은 내막에서도 차랑의 보이지 않는 조종이 있는 듯한 느낌을 지워버릴 수가 없다. 그리고 원규와의 결혼도 그 시대의 사대부가 여인같지 않은 적극성으로 그녀가 언니의 혼담을 가로챈 셈이 되며, 원규를 자신에게 빠져들도록 한 요부의 면모까지 보이니 말이다.

 

그녀는 아버지와 언니의 죽음을 알리고자 성주에서 한양까지 걸어서 간다. 그 과정에서 그녀의 효심에 탄복한 많은 유생과 학자, 아낙네들이 그 뒤를 따르기까지 하고, 상소문을 임금께 올리기도 한다. 그녀는 혹시 그런 파급효과를 노린 게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가장 미스터리한 부분이자 그녀의 의도가 의심스러운 것은 바로 진짜 박제구의 소재지를 그녀가 이미 수년전에 알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물론 박제구가 함구해 줄 것을 요구했지만 가짜 박제구의 출현으로 집안이 혼란스러울 때 그녀는 왜 진실을 말하지 않았고, 결국 산송 문제로 번질 때 조차도 말하지 않다가 모두 죽고, 사건을 일단락하게 만드는 결정적 순간에 박제구의 소재지를 말했는가 말이다.

이창래가 박수하의 재산을 가로채려고  했던 것처럼 차랑 역시 아버지의 재산을 모두 갖고, 원규까지 차지하려던 계산된 행동이 아니였을까?

 

실제 소설에서는 아버지 박수하와 문랑이 산송문제로 죽임을 당하게 되고, 그 사건을 관할했던 성주 목사(이 사람은 박수하 일가에 불리한 판결을 했고, 박수하에게 좋지 않은 감정을 갖고 있었다.)는 파면되고, 재산상속자인 오빠 역시 사건의 진상이 밝혀진 뒤 부모를 봉양하지 않고 유랑했다는 죄목으로 곤장을 맞다 죽었다. 그녀가 흠모하던 박원규와 언니의 혼인을 아버지가 생각할 때 자진(자결)이라는 다소 협박적인 언행으로 아버지의 마음을 돌려 결국 원규와 결혼도 한다.

세상으로부터는 아버지와 언니의 억울한 죽음을 밝히고자 한 효녀처럼 비치면서 의인이 된 셈이다.

결국 모든 것은 차랑이 가지게 된 셈이니 말이다.

표지에서 보여지는 살짝 내린 듯한 눈빛이지만 동시에 살짝 치켜 뜬 눈에서 그녀의 야심과 계략이 비치는 듯 한 반전 추리 소설 같다.

영원히 미결로 끝난 미스터리 사건 같기도 하다.

한편으로 섬뜩했던 부분도 바로 이 때문이다.

저자가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지 간에 진정한 요부이자 지략가이자 모사꾼은 바로 차랑 그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