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물과 당신 - 서울대 빗물연구소 한무영, 그가 밝히는 빗물의 행복한 부활
한무영 지음, 강창래 인터뷰 / 알마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책 표지를 잠깐 보고 가겠다.
표지만 봐서는 딱딱한(?) 인문 과학서 같은 이미지는 전혀 떠오르지 않는다.
빗물 모양으로 표지에 동그라미를 4개 만들어 두었는데, 감각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길가에 구르는 낙엽만 봐도 '까르르' 웃는다는 여고시절 때까지 난 종종 비오는 날이면 우산을 가방에 넣어 둔 채로 빗속을 걸었다.
시원하게 쏟아지는 빗속을 걸으면서 난 결코 뛰지도 않았던 것 같다.
비를 맞지 않기 위해서 빨리 뛰면 맞지 않아도 될 앞에 내리는 비를 괜스레 맞는 것 같기도 했고(^^;), 빗소리를 들으면서 걷는 것이 너무 좋았던 것 같다.
하지만 어느때 부턴가 내리는 빗 속에 산성비가 들어 있어서 대머리가 된다는 얘기를 듣고 이것도 그만 두었다.
여자 대머리는 없다지만 탈모는 끔찍했으니깐 말이다.
실제로 위의 사진처럼 우리들은 학교 교과서를 통해서 산성비의 생성 과정, 발생 원인, 함유 성분, 폐해에 대해서 자세하게 배웠었다.
그리고 빗물은 피해야 하고, 먹는 다는 것은 생각조차 못할 일이였다.





이 책은 완전히 우리의 기존 상식을 뒤엎는 내용이다.
이전까지 빗물 = 산성비 라는 공식이 존재했던 것을 비웃기라도 하듯이 미래의 물부족과, 홍수, 더 나아가 가뭄에 대비하는 최고의 방법이 현재로서는 빗물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매스컴을 통해서도 한번쯤은 들어 봤을 것이다.
우리나라가 물부족 국가이며, 여러 나라에서 물부족으로 인한 폐해가 실제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을 말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내 놓은 대안이 바로 정부의 4대 강 사업이다.
엄청난 사업비와 환경/생태문제 등등 아직도 찬반 논란이 진행되는 가운데, 정부는 이미 그 사업을 진행시키고 있는 듯 하다.
그리곤 TV를 통해서 끊임없이 정부의 4대 강 사업에 대한 정당성과 효율성을 홍보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 책은 그 정책에 정반대되는 이야기일지도 모르겠다.
우리나라 연중 평균 강수량을 기반으로 그 빗물을 받아서 잘 관리하고,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우리나라의 물부족은 해결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우리가 선진국이라고 부르는 여러 나라에서는 이미 이 사업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위의 사진은 실제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생산되는 빗물로 만든 고급 생수,cloud juice(구름 주스)라고 한다.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지만 상당히 놀라웠다. 우리나라에서는 비가 내리면 산성비이니깐 절대 맞아서도 안된다고 말하는데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이게 고급 생수로 팔리고 있다니 말이다. 



책의 저자인 한무영 교수는 빗물의 효용가치와 실용성, 그리고 빗물의 이용 방안에 대해 다각적으로 그 근거를 제시하고 있으며, 왜 빗물이 미래의 물 부족 문제, 홍수, 가뭄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 해 줄 수 있는지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한무영 교수는 실제 간이 빗물 시설을 아시아 저개발 국가의 빈곤층에 가서 설치해 주는 봉사활동도 자신들의 제자와 하고 있다.
그는 빗물연구소도 자비로 세워 운영하고 있으며, 위의 봉사활동 역시도 학생들과 자신의 자비로 해결하고 있다.
그렇기에 누군가의 사주(?)로 정부의 정책에 대항하기 위해서 하는 행동이 아닐까하는 모습은 버려도 좋을 것이다.
그는 정말 학자의 양심을 걸고 빗물이 물관련 여러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믿기에 자신있게 이 책을 발표한 것인지도 모른다.


과거 우리 조상들이 빗물이 물부족을 해결해 주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알았을 것이라는 몇몇 증거들이 이 책속에 나온다.
위의 사진은 제주도에서는 빗물을 항아리에 받아서 쓰던 촘항이라는 도구가 있었다.
이처럼 우리 조상들이 미리 알았던 내용들을 왜 우리는 현재에 와서 부정하고 있을까?
대상이 무엇이든지 간에 정치와 권련, 이권(돈)이 개입하면 모든 문제는 이익 다툼의 현장으로 변하는 것 같다.
비록 이런 나의 생각이 다소 과장 되었다 할지라도 이 책을 읽어 본다면 아마 모두가 느낄 것이다.
한무영 교수가 주장하는 빗물 사용은 결코 어렵지도 않고, 비용이 많이 들지도 않으며, 비현실적이지도 않고, 환경 파괴적이지도 않다.
누군가의 보금자리를 뺏지 않아도 되며, 국민의 세금을 낭비하지도 않아도 되며, 어디 한곳에 이권을 전부 주지도 않는다.
이석삼조 그 이상이다.
그런데도 제대로 한번 들어 보려고 하지 않는 정부의 행태가 아쉽고, 어이 없을 뿐이다.
돈, 노력, 시간, 환경을 모두 지켜 줄 수 있다는데, 그말이 진짜인지 아닌지 궁금해서라도 한번 들여다 봐야하는 건 아닐까?
한무영 교수의 이론이 비주류이기 때문일 것이다.
비권력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한교수의 이론이 하루라도 빨리 공론화되어,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되었으면좋겠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읽으면서 한교수의 이야기가 외면 받는 이유를 잘 설명한 한 문장을 첨가한다.

"새로운 패러다임은 대개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든 기존의 패러다임을 위협할 수밖에 없고, 기존의 패러다임에 속한 사람들의 거부감 또는 저항에 부딪히겠죠."

당신이 환경론자이든지, 4대강 찬성론자든지, 반대론자이든지 간에 이 책은 꼭 한번 읽어 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