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온한 경성은 명랑하라 - 식민지 조선을 파고든 근대적 감정의 탄생
소래섭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통감정치, 무단정치, 문화정치 등등 일본의 무수한 제국주의 통치와 식민지 통치 정책은 들어 봤어도 이 책을 알기 전까지 감정정치 내지 통치는 처음 들어 보았다.
일제의 식민지 시대에 나라를 잃은 서러움만을도 충분히 힘들고 고단했을 한국인들이 이젠 하다하다 감정까지 통제 받았다니 참 대단한 나라라는 생각과 함께 치밀하다는 말 밖에는 달리 할 말이 없다.
제목만 보면 대단히 긍정적인 책 같다.
불온한 경성은 명랑하라.
얼마나 긍정적이고 명랑(?)한가 말이다.
하지만 그 내막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완전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식민지 시대 일본의 제국주의가 거의 멸망을 앞두고 조선에 대한 지배와 통치가 극에 달한 시점이기도 하다.
그러한 시기에 도대체 누가 명랑할 수 있겠는가?
요즘은 잘 사용하지 않는 명랑이라는 의미는 과연 그 시대에 어떤 의미로 쓰였던 것일까?
그럼 명랑 먼저 그 의미부터 파악해 보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명랑(明朗)'은
(1) 흐린 데 없이 밝고 환함.
(2) 유쾌하고 활발함.
이라는 두가지의 의미로 사용된다.(p.41)
흔히 요즘 사용되는 명랑의 의미는 두번째인 경우가 많다.
이처럼 한 단어도 시대나 사회적 상황에 따라 그 의미는 확연히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일본은 어떤 의미에서 이 명랑이란 단어를 통해 우리 민족을 지배하려고 했을까?
그 당시 일본이 생각한 명랑은 '저급, 퇴폐, 난잡, 침울, 불온' 등과 같은 의미와 일맥상통한다고 봐도 괜찮을 것이다.
즉, 일본은 우리 민족의 불온한 요소들을 모두 제거함으로써 일본에 충성하고, 자신들의 지배에 수월한 모범시민으로 만들고 싶었던 것이다.
그렇기에 암암리에 우리 민족의 정신과 육체를 명랑화하고, 우리의 주변 환경을 명랑화 한다는 명목으로 감정통치를 했던 것이다.
이 책을 보면 일제의 대국민 명랑화 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시책에 대한 당시의 신문기사 자료가 등장한다.
이를 보고 있노라면 역시나 그 당시의 언론이라는 것이 권력앞에 어떻게 행동하는지도 알 수 있다.
예나 지금이나 언론이 권력으로 부터 독립을 지키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였던 가 보다.
아무튼 그 당시의 시대상과 일제의 통치 전략을 볼 수 있는 기사는 글과 함께 많은 것을 깨닫게 해 준다.
그 당시의 모습을 알게 해주는 귀한 자료라 할 수 있겠다.
책을 보면서 참 재밌었던 것은 그 당시에도 신문사의 경품 당첨이 있었다는 것이다.
요즘 처럼 독자 공모를 통한 것들도 상당히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경품 당첨이 공정함을 나타내기 위해서 눈을 가린 소녀가 추첨하는 사진이 신문이 실려 있다.
불온한 시대에 명랑하지 못한 우리 민족을 위해(?) 명랑화 작업을 대대적으로 시행하다니 대단한 조치이다. 하지만 '오늘부터 명랑해라' 라고 한다고 해서 기분이 명랑해 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는 오히려 명랑하지 못한 시대가 부각되는 조치가 아니였을까?
명랑이라는 감정이 자발적으로 일어났다면 얼마나 좋았을까마는 이 마저도 우리 민족의 통치의 수단의 한 방안이였단 것을 생각한다면 참 씁쓸해지는 사건이다.
불온한 시대, 그 감정마저도 통치 받아야 했던 일제의 대국민 명랑화 운동이 헛웃음을 자아내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