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런 제닝스 지음, 권경희 옮김 / 비채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섬이라고 하면 필연적으로 떠올릴 수 밖에 없는 고립, 외로움이라는 이미지인데 캐런 제닝스는 이러한 섬을 배경으로 섬의 유일한 주민인 동시에 등대지기이기도 한 새뮤얼이라는 주인공을 통해서 흥미로운 이야기를 펼쳐보인다. 

『섬』은 지난 2021 부커상에 노미네이트 되기도 했던 작품이기도 한데 작가 자신이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으로서 이 작품을 통해 식민지 시대 이후의 아프리카의 여러 상황들을 일흔살의 새뮤얼이라는 인물의 삶으로 그려낸다는 점에서 부커상이 좋아할만한 내용이였겠다 싶은 생각도 든다.

혼자인게 낯설지 않은 평범한 하루의 시작, 매일 아침이 언제나 똑같았을 등대지기 새뮤얼의 어느 날 아침 그가 살고 있는 섬에 한 남자가 떠밀려 온다. 남자는 정신을 잃은 상태였지만 생명이 붙어 있는 상태이다. 새뮤얼은 그가 곧 난민임을 깨닫게 된다. 

그 남자가 오기 전 새뮤얼은 섬에서 평화로운 삶을 살았을 것이다. 그와 세상을 이어주는 것은 2주에 한 번씩 그에게 보급품을 가져다주는 선박이 전부였고 그는 이런 생활에 익숙한 채 노년을 보내고 있었다.

하지만 남자의 등장으로 그는 과거 자신의 나라가 식민지가 되고 그 과정에서 벌어졌던 (모든 아프리카의 국가는 아니겠지만) 정치적 불안정과 부패, 그리고 독립을 향한 외침과 그 이후 남겨진 처참한 댓가를 회상하게 된다. 

그는 식민지로 인해 조상대대로 살아 온 땅과 집을 잃었고 생활은 곤궁해졌으며 독립운동을 했던 아버지에게 남겨진 건 영광이 아닌 장애였다. 그렇다고해서 그토록 바라던 독립 이후의 삶은 나아졌을까? 

독립은 자유가 아닌 군부독재의 장악과 부패로 이어지고 이후 자신도 그 과정에서 부정한 행위에 가담하게 되지만 새뮤얼은 곧 자신의 부끄러움을 깨닫게 된다. 이후 아버지가 독립을 위해 투쟁했듯이 새뮤얼은 민주화 운동을 위해 투쟁하지만 그 역시 아버지와 별반 다르지 않은 결과로 투옥된다. 

출소 이후 새뮤얼에게 있어서 섬의 등대지기라는 삶을 지난 시간들보다는 분명 평화로울 테지만 낯선 남자의 등장으로 인해 그의 평온했던 삶에 균열이 오면서 그가 보여주는 모습은 많은 것을 생각해보게 만든다. 

어떻게 보면 현재 아프리카 국가 중 식민지와 독립, 이후의 불안정한 정치/경제 상황 속 군부독재의 등장과 민주화 운동 등을 경험했고 현재 진행중이기도 한 나라의 역사적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을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