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생활의 역사 - 중세부터 현재까지 혼자의 시간을 지키려는 노력들
데이비드 빈센트 지음, 안진이 옮김 / 더퀘스트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가족 간의 유대 관계, 끈끈한 정, 관심 등을 이유로 유독 관심을 가장한 간섭이 심하고 오지랖 넓은 사람들도 많았지만 최근 우리나라도 사생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면서 지나치게 타인의 일에 관심을 갖는 것이 마냥 좋은 것이 아니라는 인식이 있다. 

그렇다면 이런 사생활 내지는 프라이버시는 과연 언제부터 인정받았던 것일까? 이렇듯 혼자만의 시간을 존중하고 다른 존재들로부터 방해 받지 않는 삶을 추구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 바로 『사생활의 역사』이다. 

사생활에 대한 부분도 역사가 있다니 일단 흥미를 유발하는 제목이 아닐 수 없다. 
책은 무려 중세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사람들이 혼자만의 시간, 방해 받지 않는 삶인 사생활이자 프라이버시를 지키려고 했던 노력들을 소개한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언택트 생활이나 사회적 거리두기, 생활 속 거리두기 등이 이뤄지면서 답답해 하거나 아니면 교류를 갈망하는 이들도 있었겠지만 오히려 타인과의 교류가 버거웠거나 혼자 있는 시간을 선호하는 사람들에겐 이 시기가 마냥 힘들지만은 않았을거란 생각이 든다.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라고 유명 철학자는 말했지만 그속에서도 혼자만의 시간은 분명 필요해 보이는데 이를 반영하기라도 하듯이 무려 14세기에 이뤄진 사생활 침해와 관련한 소송이 있었다는 사실이 놀랍다. 버지니아 울프는 여성에게도 자기만의 방이 있어야 한다고 했을 정도인데 이는 창작을 위한 최소한의 공간과 시간, 경제적 여유와도 맞물려 지금 들어도 맞는 말이라는 생각이 들게 한다. 

특히 책에서는 한 개인이 사회와 대중 속에서도 스스로를 지키고 사생활을 영유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했는지에 대한 구체적 언급들이 소개되는데 이런 와중에 전쟁으로 인해 개인은 물론 부부, 국가에 이르기까지 사생활이 어떻게 보호받지 못하게 되었는지를 보여주어 흥미롭다. 

무려 1949년에 출간된 작품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현대적 감각을 지닌 조지 오웰의 대표작인 『1984』을 보면 많은 사람들이 현대 사회에서 우려하는 빅브라더 시대를 연상케하여 놀라운데 책에서는 비교적 근현대의 사생활과 관련해 이 조지 오웰에 대한 이야기도 하고 있어서 새삼 그가 얼마나 대단한 작가인가를 생각해보게 만든다. 

아울러 많은 소설이나 영화, 그리고 실제 우리의 생활 속에서 다양한 형태의 감시와 추적이 공공의 이익 등을 이유로 이뤄지고 있는 점은 생각하면 이것이 과연 개인의 사생활과 어떻게 조화를 이뤄야 하는지도 생각해보게 만드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사생활의역사 #데이비드빈센트 #더퀘스트 #리뷰어스클럽 #인문 #혼자만의시간 #사생활 #방해받지않는삶 #프라이버시 #프라이버시의역사 #책 #독서 #도서리뷰 #책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