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12주 - 성공한 사람들은 1년을 어떻게 사용하는가
브라이언 P. 모런.마이클 레닝턴 지음, 정성재 옮김 / 클랩북스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 사람들은 연말연시가 되면 계획을 세운다. 이때 기준은 다음 해, 아니면 해당 연도를 중심으로 한 1년 계획이다. 1년의 최종 목표를 적고 그 아래 세부 계획으로 연간 계획을 수립하는데(물론 이것조차 하지 않는 사람도 많으니 일단 이런 노력을 한 점은 대단하다 생각한다. 무언가를 해보려는 의지가 있으니 말이다.) 누군가는 이것이 틀렸다고 말한다. 

보통 우리가 해오던 그 방식이 아니라는 말이다. 바로 『위대한 12주』에서 말이다. 책에서는 연간 계획의 위험성 내지는 헛점을 지적하는데 계획을 1년 단위로 세우면 1월에 자칫 느슨해져 계획을 잘 실행하지 못하더라도 은연 중에 아직 11개월이 남았어라는 식으로 생각하여 실행력이 줄어들고 기한에 대한 압박이 전혀 없기에 절박함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보통 연말에 실적 정산을 하는 경우 그 한 해 실적을 최대화 하기 위해서 업계 등에서 보이는 매출 증진을 위한 노력들을 보면 알 수 있다면 이에 착안해서 목표 달성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 어떤 계획을 완수할 기한을 짧게 잡는 것이 중요하고 그러면 사람들은 보다 집중해서 그 기간동안 최대의 역량을 발휘할 방법을 찾고 실행한다는 것이다. 

그렇게해서 나온 것이 바로 12주이다. 1년을 12주로 살아가는 것이다. 이는 분기별 계획과는 차원이 다르다. 분기별은 1년 계획을 분기별로 세분화시킨 것이지만 12주의 경우에는 12주 안에 해결할(완수할) 계획을 세우고 이 계획에 일단 집중하여 성과를 내는 것이다. 최대한 성공을 할 목적으로 한 후 피드백을 통해 다음 12주의 계획 세우기와 실행에 반영한다는 것이다. 

연간 계획이 아닌 12주 계획을 세우면 짧은 시간 동안 우리는 그것을 성공하기 위해 집중하고 오늘 못하면 내일 할 수 있지가 아니라 오늘 하루하루에 집중하고 최선을 다할 수 있는 것이며 가장 우선순위로 해야 할 것을 12주 계획에 담을테니 그것들을 먼저 해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런 식으로 짧게 기한을 잡으면 생각보다 나에게 주어진 시간이 그렇게 많지 않다고 여겨 자칫 1년 계획에서 보일 수 있는 마음 속 느슨함을 죄어주고 해당 계획을 이루기 위해 어떤 식으로 세부 계획을 짜고 실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효과적)인지를 생각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더욱 발전하는 구도인 것이다. 

생각해보면 진짜 그런 것 같다. 연말 새해 계획을 세우고 1월 1일부터 해야지 싶었지만 이미 1월 중순을 향해 간다. 이러다 설 연휴 지나고 방학 지나면 3월부터 해야지 할 것이다. 이런 식으로 어영부영하다보면 곧 12월이 될지도 모른다. 

그러니 작심삼일하다 포기하지 말고 1년 계획이 아닌 12주 계획을 통해 내 역량을 보다 집중해서 실행 격차를 줄여 목표 달성에 성공할 수 있는 한 해를 보낼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