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친구는 나르시시스트 생각학교 클클문고
조영주 지음 / 생각학교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나르시시스트라는 말이 긍정적 의미라기 보다는 자기애가 지나치게 강한 사람들에게 쓰는 다소 부정적인 의미가 더 큰 가운데 과연 『내 친구는 나르시시스트』라고 말하는 이유는 무얼까 싶은 궁금증이 들게 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생각학교 클클문고 시리즈로 출간되었는데 작가분이 세계문학상을 수상한 조영주 작가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있게 다가오고 과연 조영주 작가님이 말하는 우정이란 무엇일지도 기대된다. 

아이를 키우기에 점점 자라면서 새학년이 되면 혹시라도 같은 반 친구들과 잘 지내지 못하면 어쩌나, 전 학년에서 친했던 친구와 같은 반이 되면 좋을텐데 싶기도 하는 마음으로 아이보다 엄마가 더 마음 졸이기도 한다. 그런 가운데 절친, 찐친이 있다면 다행이다 싶고 잘 지냈으면 하는 마음도 들었기에 어른도 쉽지 않은 인간관계 속 우리 아이들은 어떨까 싶은 마음으로 읽어보고 싶었던 이유도 있었던 작품이다. 
서로 친하다가도 별거 아닌(적어도 어른의 기준에서 볼땐) 일로 친구에서 오히려 괴롭힘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관계를 실제 사례로 보기에 과연 사춘기 즈음의 여학생들은 그런 친구들 사이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일들에 대해 어떻게 대처할지도 궁금했다. 

작품 속에는 해환, 나애, 정안이라는 세 친구가 등장한다. 그리고 아이들 사이에는 교환 일기가 존재한다. 이들 중 해환은 오랜 시간 동안 따올림을 당했고 그러다 생긴 나애가 더욱 소중하게 다가올 것이다. 게다가 나애는 다른 아이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있는 아이다보니 이런 감정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해환은 나애에게 수동적일 수 밖에 없고 여러 면에서 휘둘리게 되는 부분도 있었다. 

그리고 과거 자신을 보는 듯한 정안을 발견하면서 해환은 자신이 힘들었던 그 시절을 이겨냈던 방법인 일기 쓰기를 통해 힘이 되기를 바라지만 정안이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자 결국 교환 일기를 제안하게 된다. 

작품 속에서는 이렇듯 해환, 나애, 정안 사이에 존재하는 교환 일기를 통해서 아이들이 자신들의 진짜 속마음을 어떻게 나누는지, 서로를 이해한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배워가는 것 같다. 참 쉽지 않은 것이 인간 관계이고 아직은 미성숙한 청소년기에  받게 되는 상처와 겪는 고민들을 잘 그려내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