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황금비율의 인연 - 얼굴이 최고의 스펙
이시다 가호 지음, 민경욱 옮김 / 하빌리스 / 2024년 10월
평점 :
물론 과장도 있었을 것이고 이제는 분위기가 좀더 달라졌을 수도 있겠지만 예전에 본 일본 드라마를 보면 경직된 직장 내 문화를 볼 수 있어서 우리나라와 비슷하거나 어떤 면에서도 더하구나 싶은 생각을 했던 적이 있다. 그러니 사회적 제도가 마련되었다고 해도 내부 고발자를 둘러싼 직장 내 다른 직원의 시선은 곱지 않아 보인다.
조직의 부조리를 제거하는데 우선시해야 하지만 그런 문제를 외부로 까발린 당사자(내부 고발자)를 오히려 문제시하는 경우가 많고 심하게도 내부 고발자를 제대로 보호조치 하지 않거나 2차 가해가 암암리 또는 대놓고 이뤄져 당사자가 회사를 그만두기도 하는데 이번에 만나 본 『황금비율의 인연』 역시 그런 소재를 다루고 있다.
한 엔지니어링 회사에 다니고 있는 오노, 갑작스레 인사부 신입사원 채용팀으로 발령을 받는다. 그것은 오노가 내부 고발자로 몰려서 일어난 부당한 조치인 셈인데 억울하지만 딱히 자신이 어떻게 이걸 해결할 방법도 그렇다고 회사에 복수할 방법도 없어 보인다. 그런데 또 그 와중에도 일은 대충하지 못하는 성격이라 오노는 어떻게 하는 것이 회사에 복수하는 방법일지를 생각하게 되는데...
오노가 생각해낸 방법이란 게 참 재밌는데 회사란 좋은 성과를 내서 많은 이익을 내고 성장하는게 목적인데 오노는 회사에 나쁜 결과를 내기로 하고 자신이 인사부의 신입 채용팀인 것을 감안해서 회사에 도움이 되지 않는 사람을 넘어 불이익이 될 것 같은 사람을 뽑아서 회사를 망하게 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것이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그녀의 철두철미하고도 성실한 성격은 과연 어떤 사람이 그런 사람인가를 고민하게 만들고 그 고민 끝에 나온 채용 기준이 바로 얼굴만 보고 뽑는 것, 일명 얼굴의 황금비율이 기준이 된 것이다. 결국 얼굴이 최고의 스펙이 되어버린다.
이쯤되면 과연 오노가 기준으로 세운 최고의 스펙대로 고른 사람들은 회사를 나쁜 결과를 가져왔을까 하는 것인데 일본은 몰라도 우리나라의 경우 외모도 경쟁력이라 해서 왠만한 성형은 성형으로도 치지 않는 때에 오히려 호감을 주거나 잘 생긴 외모가 진짜 스펙이 되는 세상이니 오노의 선택은 어떨까 싶어졌던 것이다.
자기 나름의 논리적인 생각 끝에 선택한 최고의 스펙=황금비율인데 이후 10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시점에서 과연 오노의 복수가 소심한 반란에 그치고 말지, 아니면 통쾌한 복수가 될지, 아니면 기막힌 반전을 돌아올지는 책을 통해 만나보면 더욱 재미있을 것 같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