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안의 무뢰한과 함께 사는 법 1
패트릭 갸그니 지음, 우진하 옮김 / 쌤앤파커스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는 소시오패스와 결혼했다’


성인의 약 1%가 사이코패스 성향을 가지고 있고 반사회적인 인격장애라는 측면에서는 같아 보이지만 엄연히 다른 질환으로 분류되는 소시오패스의 경우에는 도덕적인 구분은 가능하지만 소위 말하는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으며 자신의 성공을 위해서는 사람도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존재이다. 그러니 어떻게 보면 소시오패스가 더 무섭게 느껴진다. 

실제로 정신질환 역사 속에서 사이코패스라는 말이 등장했고 지금 이 단어가 사회적으로 강력범죄, 잔혹한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에 대한 지칭어처럼 보이지만 이 말이 처음 생길 당시만해도 정상적인 사람들과 같은 범주의 생각이 부족하다는 부정적인 의미는 있었으나 사이코패스=범죄자라는 의미는 아니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런 사이코패스보다 더 무섭게 느껴지는 소시오패스라고 스스로에 대해 고백하는 사람이 있다면 어떨까? 
실제로 자신을 소시오패스라고 고백하며 보통의 성인이라면 태어나고 자라는 동안 가정 또는 학교 그리고 사회 속 교육과 다양한 인간관계 속에서 느낄법한 감정, 공감, 윤리의식 등을 제대로 배울 수 없었던 것인데 이러한 내용과 함께 보다 자세한 자신의 사례들을 <뉴욕타임스>에 기고를 함으로써 화제가 되고 오히려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사람들로 하여금 공감을 이끌어낸 경우가 있다면...

상상이 아닌 실제다. 바로 『내 안의 무뢰한과 함께 사는 법』이란 책의 주인공인 패트릭 갸그니의 이야기다. 작가는 본인의 이야기를 자전적 소설 형식으로 2권에 걸쳐 펴냈고(국내 판본) 이 책에는 작가가 보통의 사람들과 달랐던 어린 시절부터 시작해 성인이 되고 결혼을 한 이후의 이야기까지 솔직하게 그려지고 있다. 

성인 네 명 중 한 명이 사이코패스라고 했던가. 확률적으로 보면 상당히 높지만 실질적으로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는 범죄자는 그만큼 많지 않다. 그건 어느 정도 그런 성향을 가지고 있어도 모두가 범죄자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셈인데 작가의 경우를 보면 소시오패스라고 고백하고 작품을 보면 확실히 보통의 정상적이라고 여겨지는 범위를 벗어난 모습이 보이는 것도 사실이고 실제로 행동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그런 그녀의 모습들이 이미 과거의 이야기인 경우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보는 입장에서는, 특히나 그것은 옳지 않은 행동이며 그렇기에 해서는 안되는 행동이라는 것을 알기에 아슬아슬하기도 하고 그러면 안된다고 말리고 싶어진다.

그나마 다행인 부분은 작가 스스로 정확히 그게 왜 문제인지 왜 그렇게 하면 안되는지, 그렇게 했을 때 상대가 느끼는 감정에 대해 제대로된 공감은 못하지만 최대한 스스로가 그러한 행동을 하지 않기 위해 애쓴다는 점이다. 어떻게 보면 작가의 이런 의지와 행동의 차이가 그녀로 하여금 우리가 범죄자로서의 소시오패스로 전락하지 않도록 만들어준게 아닐까 싶다. 

총 2권 4부로 이뤄진 내용 속에서 1, 2부인 1권에서는 패트릭의 유년기 시절 엄마가 그녀에게 세상으로 향하는 창구 같은 역할을 했고 아빠가 사는 곳에서의 대학 생활 속 역시나 정상적이지 못한 모습을 보이면서 아버지로부터 자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이 등장한다. 그리고 아빠의 영향인지 자신 역시 음악업계에 종사하면서 자신과 비슷한 성향의 사람들을 보게 되는 이야기가 그려진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